매일신문

文 대통령-野 대표 '북핵 현안' 머리 맞댈까

주내 여야 5당 대표와 회동 추진…김명수 임명동의안 국회 통과 경직됐던 분위기 누그러져

문재인(가운데) 대통령이 제72차 유엔총회 및 한
문재인(가운데) 대통령이 제72차 유엔총회 및 한'미'일 정상들과의 회담을 마치고 22일 오후 성남 서울공항을 통해 입국하며 환영나온 김부겸(왼쪽) 행정안전부 장관, 우원식(오른쪽)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등과 함께 차량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엔 외교 일정을 마치고 돌아온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주 안으로 여야 5당 대표와의 회동을 추진한다.

한반도 안보 상황 등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할 현안을 놓고 머리를 맞대야 할 필요성이 회동의 동력이 됐다. 또 문 대통령의 뉴욕 방문 기간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며 청와대와 야당 간 경직됐던 분위기가 누그러진 것도 회동의 촉매제로 작용했다.

유력하게 거론되는 회동 일자는 27일이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출국 전 진정성 있게 여야 대표와의 회동에 임하겠다는 뜻을 밝힌 만큼 5당이 모두 대화에 응할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이미 영수회담 거부 의사를 밝혀온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24일에도 "정치적 쇼로 소통한다는 것만 보여주려는 청와대 회동은 안 하는 것보다도 못하다"며 불참 뜻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여야 대표와의 회동이 성사되면 대법원장 임명동의안 처리에 감사의 뜻을 밝히면서 유엔 외교성과 등을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한미 정상회담, 한미일 정상 회동을 비롯해 유엔 사무총장과 각국 정상을 만나 대북 제재 강화와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관련한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한 경과 등이 주요 주제가 될 전망이다. 또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에 따른 정부의 대응 등을 설명하고 향후 대북정책 기조와 관련한 협조를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번 회동에서 '여'야'정 국정 상설협의체' 구성도 매듭을 짓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지난 5월 5당 원내대표 회동에서 국정 상설협의체를 만들자는 제안에 모든 원내대표가 동의했으니 이번 만큼은 협의체 구성 문제를 결론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청와대는 일단 여야의 협치를 논의하는 자리에 제1야당이 빠진다면 회동의 의미가 그만큼 퇴색되는 만큼 막판까지 한국당을 설득해 문 대통령과 5당 대표와의 회동을 성사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