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발사도발과 핵실험으로 북중 간 고위급 채널도 사실상 단절돼 양국이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 외교소식통은 25일 최근 북중 관계에 대해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게 사실인 것 같다. 현재 양국 간 의미 있는 고위인사 교류가 끊어진 지 오래됐으며 재개한다는 말도 없는 것 같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2013년 6월 김계관 당시 북한 외무성 부상과 중국 외교부 간 전략 대화를 하고 나서는 양국 간에 의미 있는 소통이 없다고 소개했다.
그는 그러면서 지난 8월 필리핀 마닐라의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리용호 북한 외무상을 잠깐 만났을 뿐 이번 유엔 총회에서도 북중 회동 자체가 없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이어 "중국 고위 인사들을 만날 때 대북관계의 애로를 직간접적으로 토로하고 있다"고도 했다.
중국은 북한 핵'미사일 문제 해법으로 '쌍중단'(雙中斷'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의 동시 중단)과 '쌍궤병행'(雙軌竝行'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 평화협정 협상)을 제시하고, 6자 회담 재개로 대화'협상의 장(場)을 마련하기 위해 북한을 설득하고 있으나 효과를 거두지 못해왔다.
이 소식통은 "중국 측은 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동원해 북한을 설득하고 있다고 한다"면서 "그러나 중국의 노력 여부를 떠나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주중 북한대사관 통해서 이야기하며 평양을 통해선 안 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재국 대사가 본국에 가면 갑이 아닌 을의 입장이기 때문에 소통이 어려운 것 같다"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인민은행이 최근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의 은행들에 거래를 중지하라고 했다는 보도를 중국 외교부가 부인한 것에 대해선 "중국은 기본적으로 안보리 이외 조치는 안 된다는 결연한 방침을 보여왔기 때문에 안보리 밖에서 하는 행동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