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날이면 나는 동대구역으로 간다. 동해남부선 완행열차에 오르려는 것도, KTX에서 내리는 서울깍쟁이 마중하려는 것도 아니다. 샅만 가린 뗀석기인(石器人)들이 돌칼 쥐고 멧짐승 사냥 나가듯, 나는 허리춤에 술잔(盞)거리 질러 넣은 채 여덟아홉 부 일간지 주워담으러 간다. 일월 일일 자 신문 근(近) 열 부면 부픈짐이어서 신춘문예 작품 빼고는, 쌀에서 고른 뉘 버리듯, 쓰레기통 속에 은근슬쩍 밀어 넣는다.
참새가 올조 밭을 그저 지나랴, 올해 첫날도 어김없이 번주그레하게 빼입은 선남선녀들 왁실왁실하는 정거장 대합실에서 쉬지근하지 않고 싱둥한 시들을 데려왔었다. 고것 중 두 편을 다시 읽는다.
"군함처럼 큰 발을 끌고/ 아버지가 낭떠러지까지/ 오두막집을 밀고 갔다가/ 밀고 왔다가/ 왼발 오른발 왼발 오른발 스텝을 맞추며/ 말기 암, 엄마를 재우고 있다/ 죽음을 데리고 놀고 있다/ 죽을까 말까 죽어 줄까 말까/ 엄마는 아빠를 놀리고 있다/ 아기처럼 엄마처럼/ 절벽 끝에서 놀고 있다"(석민재의 시 '빅 풋')
언어 혹은 언어의 진술만을 놓고 보면 갈데없는 동시다. 반면 시의 내면은 가없이 웅숭깊다. 근처에도 못 가 본 탓일까, 나는 '낙관'이나 '달관'이란 말에 경외감을 느끼곤 한다. 그리고 '달관' 하면, 조지훈의 시 '완화삼'(玩花衫)에 대한 화답 시인 박목월의 '나그네'의 구절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를 떠올린다. 시 '빅 풋'이야말로 달관의 극치를 보여 주는 시다. 덜미에 사잣(使者)밥을 짊어진 엄마와 그를 병(病)시중하는 아버지를 일러 '벼랑 위에서 서로 놀리며 놀고 있는 아기와 엄마'라니. '큰 발'이란 제목도 재미있다. 생과 사의 갈림길에 선 엄마와 하고많은 날 혼자서 즐겁게 놀아 주는 아버지가 얼마나 미쁘면 "군함처럼 큰 발"이라 할까.
"삼국 시대부터/ 바위 속에서 나오기 시작했다는/ 부처님// 아직도 나오고 있다/ 천천히 아주 천천히// 몸 뒤쪽은 못 나왔는데/ 그래도 좋은지/ 웃고 있다"(박경임의 동시 '서산 마애불')
마애불을 사람들은 정적인 것 즉 암벽에 새긴 불상으로만 아는데, 시인은 동적인 존재 즉 바위에서 나온 부처로 격상시켜 놓는구나. 까짓것 바위에서 나왔다 치자, 그래도 그렇지. 마애불을 우리는 과거완료형 즉 백제 말기에 이미 다 나온 걸로 아는데, 시인은 현재진행형 즉 천 년은 좋이 지난 시방도 빠져나오는 중이라나. "몸 뒤쪽은 못 나왔는데/ 그래도 좋은지/ 웃고 있다"고? 우리도 그 부처님 따라 싱그레 웃을 수밖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