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료기관·어린이집 종사자 5명 중 1명 잠복결핵 '양성'

대구 집단시설 2089명 확진

대구지역 의료기관과 사회복지시설에서 일하는 사람 5명 중 1명은 잠복결핵에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잠복결핵 검진사업 중간 결과에 따르면 대구 의료기관과 어린이집,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시설 종사자 1만1천769명 가운데 17.8%인 2천89명이 잠복결핵 양성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적으로는 검사 대상자 29만8천675명 가운데 21.8%(6만6천37명)가 양성으로 확인됐다.

대구 시내 집단시설별로는 의료기관 검진자 8천23명 가운데 19.1%(1천531명)가 양성 판정을 받았다. 어린이집에서는 종사자 3천267명 중 14%(459명)가 양성으로 확인됐다.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는 검진을 받은 479명 중 20.7%인 99명이 양성이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집단시설의 결핵 발생을 사전 차단하고자 올 5월부터 전국 의료기관과 어린이집,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잠복결핵 검진을 진행 중이다. 대구는 검진에 동의한 1만9천161명 가운데 61.4%인 1만1천769명의 검진을 끝낸 상태다.

잠복결핵에 감염된 청소년도 상당수였다. 대구의 고교 1학년생 가운데 검진에 동의한 1만8천283명을 검진한 결과 513명(2.8%)이 잠복결핵 확진 판정을 받았다.

잠복결핵은 몸속에 결핵균이 있지만 발병하지 않은 상태로, 증상이 없고 타인에게 옮기지 않는다. 그러나 면역력이 약해져 결핵균이 활성화되면 결핵이 발병할 가능성이 있다. 통계적으로 잠복결핵 감염자 중 5~10%는 추후 결핵이 발병한다.

결핵을 치료하려면 한두 가지 약제를 3~9개월간 복용해야 하며, 치료 시 결핵 발병을 60~90% 예방할 수 있다. 정부는 국가 검진으로 잠복결핵이 확인되는 사람에게는 치료비를 전액 지원할 방침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