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성추행 파문에다 회유 의혹까지…수성구의회의 민낯

요즘 대구 수성구의회에 바람 잘 날이 없다. 구의원들 사이에서 낯 뜨거운 성추행 사건 파문이 벌어진 데 이어 이에 대처하는 자세도 전혀 매끄럽지 못해서다. 성추행 파문이 지방의회 의원들 사이에서 벌어졌다는 것 자체가 개탄스러운데, 엄정한 경위 파악과 문책을 통해 파문을 수습해야 할 의회 수뇌부가 제 식구 감싸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면서 유권자들의 분노와 실망감이 크다.

이번 파문의 단초가 된 성추행 파문은 구의회의 외지 연수에서 벌어졌다. 말이 번듯해 의정 활동의 연장선상이지 연수 때마다 여흥 일정이 많아 음주 및 일탈이 다반사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구청 관계자들은 해마다 제주도 연수 때 크고 작은 사건이 많았다고 입을 모으는데, 급기야 자유한국당 소속 구의원이 더불어민주당 소속 구의원(여성)을 상대로 성추행을 벌였으며 문제가 불거지자 돈 봉투로 회유하려 했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사실이라면 묵과해서는 안 된다. 더구나 성추행은 당리당략에 얽매여 처리할 사안도 아니다. 하지만 파문이 커진 이후 피해 여성 의원 집을 찾아가 회유를 종용했다는 수성구의회 의장의 행동은 매우 부적절해 보인다. 게다가 여성인 수성구의회 의장이 성추행 문제에 미온적으로 처신한 것을 두고서 같은 당(자유한국당) 소속 의원을 감싸기 위해서가 아니냐는 말이 나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지방의원들은 풀뿌리지방자치제가 도입된 이래 지방의회 무용론이 왜 끊이지 않는지 깊이 성찰하고 고민해야 한다. 하지만 일부 지방의원들은 지방의회를 특정 정당이 독점했던 시절의 사고에서 한 치도 못 벗어나고 있는 듯하다. 지방의원 전원이 같은 당 소속 일색이던 시절에는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문제를 덮어둘 수 있었지만 지금은 시대가 달라졌다. 수성구의회만 하더라도 자유한국당 11명, 바른정당 4명, 민주당 3명, 정의당 1명, 무소속 2명으로 의회 권력이 분산돼 있다. 다당제 아래에서는 의원들이 더욱 행동을 조심해야 하고 본연의 의정 활동에 매진해야 한다. 수성구의회는 문제를 일으킨 의원에 대해 응당한 책임을 묻고, 아울러 뼈를 깎는 자정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