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文 대통령 "한글 창제 뜻은 민주주의 정신과 상통"

"한글날, 세종대왕 애민정신 담겨"

9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9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마음을 그려내는 빛, 한글'이라는 주제로 열린 '571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이낙연(왼쪽에서 두 번째) 국무총리와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내외빈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며 한글날 노래를 부르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한글날인 9일 "만백성 모두가 문자를 사용할 수 있게 해 누구나 자신의 뜻을 쉽게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게 한 것,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뜻은 오늘날 민주주의 정신과 통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한글의 가장 위대한 점은 사람을 위하고 생각하는 마음이다. 한글은 배우기 쉽고, 우리 말을 들리는 그대로 표현할 수 있어 의사소통이 쉽다"며 "훈민정음이 반포된 지 571년, 한글날은 말을 글로 표현하지 못하는 백성들의 간절함을 헤아린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이 담긴 날"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우리 말과 글이 있어야 우리의 마음을 바르게 표현할 수 있다"며 "한글은 단지 세계 여러 문자 가운데 하나인 것이 아니라 우리를 우리답게 하는 유일한 문자"라고 말했다. 특히 "한글이 있었기에 우리는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문맹률과 가장 수준 높은 교육을 이뤄냈고, 개성 있는 우리만의 문화를 발전시켰다"며 "한글의 과학성은 오늘날 컴퓨터와 휴대폰의 문자 입력 체계의 우수성으로 또다시 증명되고 있다.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시대에서 한글의 위대함이 더 빛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 총회 참석 당시 유엔본부 로비에 전시된 활자본 월인천강지곡을 바라보는 사진을 게재하면서 "유엔 총회에 갔을 때 유엔본부에 전시된 활자본 월인천강지곡을 보았다. 한글 창제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앞섰던 금속활자 인쇄를 전 세계에 소개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