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미사일 추가 도발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미 외교계 거두인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을 면담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내달 한'중'일 3국 방문을 포함한 취임 후 첫 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북핵 해법 조언을 청취한 것이어서 향후 트럼프 정부의 노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키신저 전 장관은 그동안 중국이 김정은 정권 붕괴를 끌어낼 경우 한반도에서 주한미군이 철수할 수 있다는 식의 이른바 '미'중 빅딜론'을 주장해왔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의 결심이나 내달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서는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안보 지형이 크게 바뀔 수 있다는 관측도 없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백악관에서 키신저 전 장관을 만나 "엄청난 재능과 경험, 지식을 가진 제가 매우매우 존경하며 오랜 친구인 키신저 박사와 만난 것은 영광"이라고 예우했다.
그는 대선 후보 시절인 지난해 5월 키신저 전 장관의 자문을 얻은 사실을 거론한 뒤 "우리는 많은 부분에서 진전을 이뤘고 일부에서는 뛰어난 성과가 있었다"면서 "(급진 수니파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와 중동, 그리고 많은 것들에서 수많은 진전을 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러나 그곳(중동 등)은 훨씬 더 조용한 곳이다. 물론 내가 고치고는 있지만 나는 엉망진창인 상태를 물려받았다. 키신저는 해줄 말이 있을 것"이라고 북한 문제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직접 '북한'을 언급하진 않았으나, 그동안 여러 차례 "25년 전에 해결됐어야 할 문제"라며 "엉망진창인 상태를 넘겨받았다"고 말해왔다.
이에 키신저 전 장관은 "지금은 건설적이고 평화로운 세계 질서를 구축할 기회가 아주 큰 때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아시아 방문을 한다"며 "이 방문이 발전과 평화, 번영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 CBS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 핵 협상과 북한 핵에 대한 결정을 앞두고 키신저 전 장관을 만났다"고 의미 부여를 했고, 인터넷 언론 '데일리비스트'는 "다른 어떤 현안보다도 북한과 중국에 대해 논의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