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문 정부, 대구공항 통합이전 의지 있기는 한가

대구공항 통합이전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사항이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대구를 찾을 때마다 지역 대선 공약으로 통합 대구공항을 가장 먼저 언급했고, 지역거점 공항으로 육성하겠다고 했다. 대통령 당선 후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못 박으면서 이를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지역민들의 대구공항 통합이전에 대한 기대 또한 그 어느 때보다 크다.

그런 기대가 실망으로 바뀔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통령은 대구공항 통합이전을 약속했으나 국토교통부 등 실무 부서 장관이나 부서가 보내는 신호들이 영 미덥지 않아서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대구공항 통합이전 실태와 필요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 의심스럽고 국방부는 이전 행정절차에 뜸을 들이고 있다. 이들의 태도는 대통령의 공약 실천 의지를 의심받게 한다.

김 장관은 12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주호영 바른정당 의원이 대구공항 이전 문제를 수차례 거론했지만 이를 한 차례도 언급하지 않았다. 주 의원이 대구공항은 "지금도 이용 승객이 폭증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전 필요성을 거론하자 "김해신공항에 대한 용역이 진행 중"이라는 다소 엉뚱한 답변을 내놓았을 뿐이다. 대구공항 이전이 대통령의 의지라면 실무 부서 장관은 적어도 대구공항 이전이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지, 구상은 무엇인지 정도는 국회에서 당당히 밝혔어야 했다. 김 장관이 이를 언급조차 않았다면 업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거나, 스스로 대통령의 의지를 의심했기 때문일 터다.

대구공항 이전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숙제다. 대구공항은 지난 5일 1만3천109명이 이용, 하루 최다 이용 기록을 갈아치웠다. 지난달까지 대구공항 이용객은 총 254만2천398명으로 지난해 실적(253만3천132명)을 이미 넘어 신기록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올 연말까지 대구국제공항 이용객은 35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공항의 수용 능력(375만 명)은 내년이면 한계에 달한다.

대구공항 통합이전은 계획대로 진척된다 하더라도 2025년 이후에야 가능하다. 지역으로서는 부산이 '가덕도'에 신공항을 짓든, 김해공항을 확장하든 반대할 이유가 없다. 이미 수요가 확인된 대구경북에 반듯한 통합이전 대구공항을 짓는다는 전제 아래서다. 지역민들이 가까운 공항을 두고 다른 공항을 찾아야 하는 불편은 당연히 덜어줘야 한다. 공항 이전 필요성에 대한 국토부와 국방부의 인식전환을 촉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