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금력 부족한 지방 중소 건설사 도태, 대형 건설사 위주로 시장 재편될 수도"

지역 건설업계 우려 목소리

후분양제 논의가 다시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자칫 지방 중소 주택건설업체가 고사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대구 주택건설업계는 후분양제 도입에 앞서 상대적으로 자금력이 부족한 지방 중소건설사에 대한 배려가 먼저라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역 주택건설업계는 정부 로드맵에 따라 공공에서 민간 아파트로 후분양제가 확대되면 건설사의 재무 능력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의 선분양제하에서는 건설사가 일반 분양자의 계약금, 중도금을 통해 공사비를 조달할 수 있지만 후분양제하에서는 공사비를 나중에 받아야 하므로 건설사 스스로 자금을 조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재무구조가 탄탄하고 신용도가 높은 대형 건설사와 달리 자금조달 능력이 부족한 중소 건설사들은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신용등급이 낮거나 아예 없는 중소 건설사들은 사실상 사업을 중단하는 사태도 잇따를 것으로 우려된다.

지역 주택건설업계는 특히 재건축'재개발 사업 수주전에서 '대기업 독식' 현상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후분양제 시행에 따른 이자 비용을 건설사와 재건축'재개발 조합 사업비로 공동 부담하는 경우 조합원의 수익이 감소해 추가부담금이 늘어나는 등 갈등이 잇따를 수 있다는 점에서 건설사의 자금력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기 때문이다.

지역 주택건설업계는 "현재 환경에서 후분양제 도입은 필연적으로 대형 건설사 위주의 시장 재편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중소 건설사들이 시장에서 사라지면 신규 주택 공급은 줄고 기존 주택 가격은 더 오르는 악순환이 되풀이될 것"이라며 "정부가 주택금융시스템에 대한 구조적 개편 등 중소 건설사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 개선 이후 후분양제 도입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