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 4차 산업혁명은 운명이다

"4차 산업혁명은 기업의 운명이다"라는 지멘스 가트너(Gartner) 회장의 말에 이끌려 지난 9월 독일로 향했다. 볼프스부르크의 폭스바겐 공장, 하이델베르크의 SAP 앱하우스, 발도르프 SAP 본사와 카이저스라우테른의 인공지능연구소(DFKI)는 독일의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폭스바겐 공장은 6일에 1대꼴로 같은 차가 생산될 정도로 맞춤형 생산체제로 넘어가고 있었고, SAP는 기업의 디지털화와 기업 간 연결을 후방 지원하고 있었으며, 스마트팩토리를 창안한 인공지능연구소는 스마트팩토리의 차세대 버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독일의 4차 산업혁명은 스마트팩토리에서 출발해 인더스트리 4.0으로 진화해 왔고, 지금도 새로운 버전으로 발전하고 있다. IoT(사물인터넷), CPS(사이버물리시스템) 등에 의해 현실 시스템과 사이버 시스템 간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자원조달에서부터 설계, 생산'유통'서비스에 이르는 기업의 공급 사슬 전체 과정을 연결하는 '새로운 산업혁명'으로 발전하고 있다.

독일 인더스트리 4.0의 궁극적인 목표는 규격화된 제품뿐만 아니라 고객주문형 상품도 대량생산할 수 있는 21세기 글로벌 생산시스템 구축이다. 2020년경에는 독일의 제조업 전체가 스마트 공장으로 초연결된 거대 플랫폼 생태계로 이행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해 독일의 공장과 공장, 기업과 기업이 모두 연결돼 마치 독일이 하나로 연결된 혁신 생산기지가 되는 것이다. 독일 4차 산업혁명을 디지털화 측면에서 지원하고 있는 SAP의 쿠베 부회장은 "CEO의 90%는 앞으로의 디지털화 경제화(4차 산업혁명)가 자신들의 산업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확신하지만, 제대로 전략을 준비하고 있는 곳은 15% 미만"이라고 한다. 이에 SAP에서는 다섯 가지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고객 입장에서 생각하기, 둘째, 맞춤형 솔루션 전략 채용. 셋째, 디지털 스마트 제품 만들기, 넷째, 디지털 공급망과 스마트 팩토리 구축하기, 다섯째, 서비스화와 새로운 사업모델 발굴하기가 그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 첫째로는 산업계, 정치계, 학계가 산업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 경북도는 올 초 산'학'관'연을 아울러 63명으로 4차 산업혁명 전략위원회를 구성했다. 현재는 6개의 실행위원회에서 분야별로 수행할 사업과제를 구체화하고 있다. 둘째로는 스마트화를 위한 창의적인 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 경제의 디지털화 경향이 고조되면서 프로젝트 기획과 운영에 있어서 민첩성 차원이 강조되고 있다. 셋째, 창업과 신제품 개발에 대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스라엘에서는 창업지원 대상자를 선정할 때 같은 자격이면 한 번 실패한 사람에 우선권을 준다고 한다. 한 번 실패해 봤으니 성공 확률이 더 높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라고 한다. 또 혁신적인 제품의 경우 정부가 초기 시장 형성을 위해 예산으로 구매해 주는 제도도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일자리에 대한 고민도 같이해야 한다. 경제의 디지털화, 글로벌화 추세와 미래의 인구 동향과 노동력 수요를 감안하여 새로운 시장과 노동의 형태에 대한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산업화엔 늦었지만 정보화에 앞서가자.' 과거 우리 정부가 내걸었던 슬로건이다. 이를 중심으로 기업과 정부가 함께 노력한 결과 세계 최고의 정보통신망과 스마트폰을 비롯한 IT제품을 자랑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운명이라면 하루라도 빨리 받아들이자. 그리고 이제라도 플랫폼을 형성해 하나의 방향으로 나아간다면 과거 정보화의 성공을 이어 4차 산업혁명에서도 앞서나가는 국가가 될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