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긴 추석 연휴를 달궜던 영화 남한산성은 병자호란(1636년 인조 14년)을 배경으로 했다.
치욕을 견디고 나라를 지켜야 한다는 주화파의 이조판서 최명길(이병헌)과 맞서, 싸우는 것으로 힘을 기르자는 척화파 예조판서 김상헌(김윤석)의 말 대결이 백미다. 두 충신은 각기 다른 주관으로 인조(박해일)를 설득하려 한다.
소설가 김훈의 '남한산성'을 원작으로 해서인지 스크린 곳곳에 주옥같은 대사가 등장한다. 마치 큰 산을 오를 때 만나게 되는 도토리, 노루 발자국, 청설모처럼 스크린 곳곳에 절제된 사실적 묘사가 돋보인다. 청나라 장수 용골대가 투견을 석궁으로 쏴 죽인다든지 김상헌의 자살은 원작과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충신과 역사의 재연이란 흐름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다.
최명길은 백성들을 지키기 위해서는 청의 가랑이 사이라도 기어가 삶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상헌은 왕의 위엄이 바로 서야 백성들의 존경을 받고 나라를 지킬 수 있다고 항변한다. 대척점에 서 있는 팽팽한 두 주장은 모두 백성을 위하고 왕을 섬긴다는 점에서 같다. 단지 그 길이 다를 뿐이다.
영화 남한산성이 판타지로 보이는 이유다. 남한산성은 우리가 보지 못한 제대로 된 정치를 보여준다. 비록 말의 성찬이 가득하고 인조의 우유부단한 측면이 부각되기도 하지만 충신들의 진정성은 가리지 못한다. 나라를 구하기 위해 각기 다른 삶의 길을 내려는 두 충신은 결국 자신에게는 죽음의 길인 것을 알면서도 망설임이 없다.
현실 정치에서 볼 수 없는 정치를 구현했다는 점에서 분명한 픽션(허구)이다. 사(私)를 버리고 공(公)을 추구하는 멸사봉공의 정치가 과연 작금의 한국 정치에 존재하는가.
'정치'는 국민의 삶을 윤택하게 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국가를 바르게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많은 정치인들은 불신의 아이콘이 돼 버렸다. 국민이 위임한 공적 기능보다는 '금배지'만 유지하려는 사리사욕이 앞서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정치가 바로 서지 않으면 스크린이나 현실에서나 민초들만 고달프다. 대장장이 '날쇠'와 늙은 어부의 손녀 '나루'는 전쟁통에 가족을 잃고 정치인들의 말 한마디에 삶 전체가 휘둘린다. 날쇠는 산성 망루 위에서 정치인들의 말 한마디에 가마니를 얻어 추위를 덜기도 하고 다시 빼앗기기도 한다. 물길을 잘 아는 나루 할아버지도 임금에게 얼음길을 알려 주고도 좁쌀 한 톨도 못 받는다. 얼음길을 부려주고 좁쌀 됫박 받으려는 작은 바람에 나라는 어부에게 되레 '칼'을 준다.
대한민국 정치에서 용골대의 부대는 성문 앞에 바싹 다가와 있다. 북핵 문제 하나만 보더라도 오늘을 사는 우리에겐 청의 침략만큼이나 중대 사안이다.
하지만 이념인지 실리인지 모를 반목의 높은 벽은 남한산성만큼이나 견고하다. 적폐 청산,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전술핵 배치에서 여당과 야당이 극단적으로 갈라져 있다. 서로 으르렁대는 정치인들 중 나라를 위해 칼을 물 수 있는 김상헌과 최명길이 몇이나 되겠는가?
국민들은 사교육 걱정 없고, 월급봉투와 가게 매출이 올라 자식도 마음 놓고 낳을 수 있는 따뜻한 현실을 바랄 뿐이다.
그러려면 국가의 운전석에 앉은 정치인들부터 정신 차려야 한다. 정치의 목적이 대립만이 아닌 국민들을 위한 큰 틀에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 자칫 정치를 개개인의 사욕을 채우기 위한 도구쯤으로 생각한다면 대형 사고는 피할 수 없다.
어쩌면 우리는 아주 오랫동안 그래 왔듯이 참 정치를 앞으로도 못 볼 수 있다. 용골대의 군사가 코앞에 왔는데 우리만 그걸 모르기 때문이다. 분명한 건 나아갈 곳도 물러설 곳도 없는 고립무원의 남한산성은 언제든 재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영화 속 인조의 대사가 아직도 생생하다. '안에서부터 먼저 망하는 걸 모르고….'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