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애매한 '동남권' 위치 도대체 어디인가

文대통령 언급했던 지역 불명확, 작년에만 8개 시·도 참여의향서

원전해체연구소(이하 원해연) 유치를 두고 자칫 지역 간 갈등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던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 건립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기획재정부는 '타당성 없음'으로 결론 내린 바 있다. 당시 경북도를 비롯해 대구, 부산, 울산, 강원, 전북, 전남, 광주 등 8개 시'도가 참여의향서를 제출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지만 무산됐다.

경북도는 이번 정부에서도 이 같은 지역 간 경쟁이 재연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문 대통령이 언급한 '동남권'이라는 지역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데다 동남권에 경북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지역 간 갈등을 막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공정한 입지 선정을 위한 분석이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북도는 정치적 고려가 아닌 공정하게 입지를 심사한다면 유치에 자신 있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많은 희생과 고통을 감내하며 국가 에너지 주권을 지켜온 만큼 정부가 남아있는 원전의 안전한 운영을 고려해 원해연을 경북에 설립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것이다.

경북에는 국내 원전 24기 중 12기가 가동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가장 많은 원전과 방폐장이 있고 원전설계'안전관리'방폐물 등 전문기관과 기술자가 많은 경북에 원해연이 들어서는 것이 마땅하다는 당위성을 내세우고 있다.

원자력 특화 고등학교, 대학, 대학원 등 교육 인프라가 풍부하고 한전KPS, 두산중공업 등 해체 관련 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어 경북이 최적 입지라는 것이다. 원해연이 경북에 들어서면 '설계-운영-해체-처분'으로 이어지는 원전 관련 산업을 한곳에서 완성할 수 있게 된다.

경북도는 정부가 앞으로 원해연 유치 공모를 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북도는 원전, 인력, 기관이 모인 장점을 부각시키고 특히 원해연을 유치할 경우 연구원이 편하게 생활하며 연구할 수 있도록 주거여건을 개선하고 정주여건을 지원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원해연 유치 TF를 구성해 적극 대처하겠다"면서 "원자력 포럼을 열어 원해연 유치 논리를 개발하고 입지 평가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