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일 정상회담에서 대북군사행동 논의될까 촉각…전망 엇갈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5일 일본을 방문해 이튿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면서 미국의 대북 군사행동 문제가 논의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24일 정례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방일은 북한을 포함한 지역의 안보환경이 한층 엄혹해지는 상황에서 미일동맹의 공고한 유대를 재차 세계에 보여줄 절호의 기회"라고 말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25일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방문을 통해 일본 정부는 '신조-도널드'라는 친근한 관계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공고한 결속을 연출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신문은 이런 표면적인 행사 외에도 안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두 사람 간의 정상회담에서 미국의 대북 군사행동 문제가 논의될지가 주요 관심 사항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에 대해 전망이 엇갈린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신문에 따르면 후루쇼 고이치(古庄幸一) 전 해상막료장(한국의 해군참모총장에 해당)은 "공표 여부와는 별도로 국가 정상들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논의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회담에서 대북 군사행동 문제가 거론될 것으로 내다봤다.

만일의 사태라는 것은 북한이 예고했던 괌 주변 해상에 대한 탄도미사일 발사 등이 계기가 돼 미국이 군사수단에 나서는 경우라고 그는 지적했다.

반면 야나기사와 교지(柳澤協二) 전 관방부 장관은 "미일 정상회담에서 군사수단을 거론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가능성을 일축했다.

그는 "군사수단을 쓰려면 피해를 최소화하고 작전을 완벽히 수행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전제가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에 피해가 나올 수 있는 상황에서 군사수단은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