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신도청은 '집회 청정구역'…한달 평균 1.6건

이전 전 7.1건…유동인구 적어 단체들 제외시켜

얼마 전 안동시 풍천면 경북신도청 정문 앞 인도에서 모 지역 주민 40여 명이 교량 건설 계획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하지만 분위기는 한산하기 그지없었다. 버스를 빌려 안동까지 온 주민들이 현수막과 피켓을 들고 수차례 구호를 외쳤지만, 경찰과 도청 관계자 등 극히 일부의 사람들 외에는 지켜보는 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도청 한 공무원은 "도청이 대구에 있을 때는 집회를 종종 봤지만, 신도청에서는 보기 어려워졌다. 아직까지는 유동인구가 워낙 적다 보니 집회를 열어도 봐줄 사람이 없어서 그런 것 같다"고 했다.

집회시위가 잦았던 경북도청 정문 앞이 집회 청정구역(?)으로 변했다. 대구시 북구 산격동에서 안동 도청신도시로 이사한 후 집회 수가 크게 줄었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도청 이전 이후 이달 중순까지 19개월간 열린 집회는 31건으로 월 1.6건꼴이었다. 도청이 대구 북구 산격동에 있던 2013~2015년에는 총 259건의 집회가 열려 한 달 평균 7.1건으로 훨씬 많았다.

집회 감소 이유로는 도청신도시 교통 접근성이 대구보다 떨어지는 데다 주변 편의시설도 턱없이 부족한 탓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안동경찰서 관계자는 "교통 요지인 대구보다 안동은 멀리 떨어져 있다. 주변에 편의시설도 부족하다. 그러니 집회 수도 적고, 집회를 열어도 하루만 머물다 떠나는 게 대부분이다"며 "담장 없이 개방된 신도청 구조 때문에 이전 초기 집회를 대비하며 긴장했지만, 지금은 별다른 문제없이 관리되고 있다"고 했다.

대구 북부경찰서 관계자는 "산격동 청사는 정문 앞 공간이 좁아 집회하기에는 불편하지만, 앞 도로 교통량이 상당해 민원 알리기가 쉬웠다. 반면 신청사는 이런 효과를 누릴 수 없어 집회를 열 매력이 떨어지는 장소"라고 했다.

도청 한 공무원은 "예전에 주로 집회를 했던 단체들이 최근 조용한 것도 이유"라며 "소음 걱정 없이 근무할 수 있어 좋지만 집회가 도정에 관한 관심의 표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조금 우려스럽기도 하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