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에 위치한 강화도는 한강과 임진강, 예송강의 민물과 바다의 짠물이 만나는 지점이다. 환경에 예민한 새우는 적당한 염도를 가진 강화 앞바다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다. 이 때문에 이맘때쯤 강화도 앞바다엔 새우잡이 어선들로 가득 찬다. 40년 경력의 김영철 선장 역시 두 달째 좁은 배에서 생활 중이다. 요즘 잡히는 새우는 젓갈을 만들어 주로 김장 때 쓰는데 새우젓은 강화도 사람들에게 최고의 밥 도둑이다. 새우젓을 이용한 요리도 발달했다. 갈비를 새우젓만 넣고 끓인 '젓국갈비'는 소화도 잘 될뿐더러 담백하고 깔끔한 맛이 일품이다.
충남 보령시의 작은 섬 죽도의 한 항구. 이른 새벽부터 배들이 불을 켜고 출항한다. 살아있는 자연산 대하를 잡기 위해서다. 40여 년간 이곳에서 산 대하를 잡아 왔다는 장의진(71) 선장은 살아 있는 대하를 잡기 위해 기계가 아닌 손으로 직접 그물을 끌어올린다. 선장과 선원은 그물을 올리고, 내리고를 수차례 반복한다. 이곳의 대하를 볼 수 있는 건 9월에서 11월까지 단 두 달뿐이다. 자연산 대하를 소금구이 해 껍질을 벗겨 초장에 푹 찍어 한 입 넣으면, 부드럽고 쫄깃한 대하의 육질이 입에서 감도는 최고의 맛이다. EBS1 TV '한국기행-가을 밥 도둑을 잡아라-4부. 가을 왔'새우'' 편은 2일 오후 9시 30분에 방송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