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벌자니 마땅히 할 일이 없고, 공부해야 하는데 돈을 벌어야 하는 게 요즘 20대의 처지다.
금융위원회는 서민금융진흥원, 신용회복위원회, 자산관리공사와 함께 벌인 청년'대학생 금융 실태조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에 의뢰한 이번 조사는 19∼31세 남녀 1천700명을 상대로 지난 5월 29일∼6월 23일 이뤄졌다. 대학생과 비(非)학생이 각각 850명이다.
학업 중이 아닌 비학생은 약 5명 중 1명(19.7%)이 일을 하고 있지 않았다. 이들의 실업률은 9.2%로 전체 실업률(3.4%)의 약 3배에 달했다.
대학생은 4명 중 1명(26.6%)이 학업 시간 외에 일을 했다. 근로 대학생은 95.1%가 임시'일용직으로 일했다. 거의 모두 용돈'생활비 마련이 목적이었다.
대학생의 월 평균 수입은 50만1천원,지출은 102만2천원이다. 주요 수입원은 용돈'아르바이트, 지출은 등록금 등 교육비와 생활비다.
비학생은 월평균 157만6천원을 벌어 89만3천원을 썼다. 대학생과 비교하면 흑자 살림이지만, 60% 이상은 생활비나 취업준비자금 등으로 돈 부족을 호소했다.
이 때문에 비학생은 5명 중 1명(20.1%)이 금융권 등에서 돈을 빌렸다. 대출금은 평균 1천303만원이다.
대학생은 10명 중 1명 이상(12.5%)이 대출을 경험했다. 주로 학자금 때문이었다. 대출금은 평균 593만원이다.
비학생 대출 경험자(850명의 20.1%, 171명)와 대학생 대출 경험자(850명의 12.5%, 106명)를 더하면 전체의 약 16%인 277명이다.
금융위는 관계 부처 합동으로 저소득 가구 청년층 지원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장학금을 늘리고 학자금 대출의 지원 조건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생활비 대출을 지원하는 한편 임대주택과 기숙사를 늘리자고 했다.
금융위는 청년층 햇살론의 공급 한도를 내년 중 600억원 늘리는 한편 연체 관리와 채무 조정 개선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