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文대통령, 日 회담 통해 '트럼프 스타일' 예습

공식 일정 안잡고 회담 대비, 북핵 도발 기조 이견 없을 듯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6일 손님맞이와 회담 준비에 분주했다.

청와대는 우선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하기 전 들른 일본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하는 정상회담의 의제와 결과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을 극진히 예우한 일본을 향해 동맹관계가 끈끈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미국의 이익을 철저히 챙기는 실리적인 면을 보인 만큼 막판까지 '트럼프 스타일'을 분석하는 데 공을 들일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도 이날 공식 일정을 잡지 않은 채 참모들로부터 정상회담 준비와 관련 보고를 받으면서 취임 후 세 번째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 대비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회담에서 가장 주된 의제라고 할 수 있는 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그에 따른 한미 공동의 대응, 한반도 평화구축 기조에는 이견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우리 정부가 제재 못지않게 북한과의 대화에도 공을 들이고 있는 만큼 대화와 압박을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을 상기시킬 가능성이 있다.

관건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일 정상회담에서 보여줬듯이 북핵 이슈 외에 경제'무역이슈의 불공정성을 제기하며 철저히 실익을 챙기려는 스타일을 보이고 있는 점이다. 지난 6월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문제를 제기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방한을 계기로 좀 더 직접적으로 언급할 가능성이 크다.

양국이 모두 정상적으로 국내 절차를 거치면 빨라도 내년은 돼야 재협상이 본격화할 전망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평소 불공정하다고 지적해 온 FTA 재협상을 유리하게 이끌고자 강경한 태도를 보일 공산이 있다.

문 대통령은 그간 FTA의 호혜성 원칙이 지켜져 왔다는 점을 계속 강조해 온 터라 국익을 지킨다는 대원칙 아래 FTA 재협상 문제도 절차대로 정교하게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미국산 첨단무기 구매를 적극 요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선 미일 회담에서 대일 무역적자의 심각성을 강조하면서 구체적 해소 방안으로 미국산 첨단무기 구매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가 또 하나 주목하는 부분은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이 아시아 순방길에 오르기 전부터 적극 중국을 견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점이다. 미국 정부는 아시아 순방에 즈음해 호주에서 동북아, 인도에 이르는 지역을 '아시아'태평양'이라고 부르는 대신 '인도'태평양'이라는 용어로 다시 규정했다. 미국이 라이벌로 급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려는 포석이라는 분석이다.

이런 상황에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에 따른 경색된 관계를 풀고 겨우 한중 관계의 해빙이 시작되려는 시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견제에 동참을 요구한다면 문 대통령의 입장이 난처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