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패션디자인산업 발전을 견인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패션산업연구원(패션연)이 7년이 지나도록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역대 원장들마다 이런저런 논란에 휩싸였고 경영 부실 및 비리 논란이 숙지지 않았다. 정부의 사업 평가는 하위권을 맴돌고 내부 알력 잡음들이 여기저기서 들리는데도 이를 추스를 경영진 공백 상황은 길어지고 있다.
패션연은 패션센터와 봉제연구소를 합병해 지난 2010년 출범한 전문생산기술연구기관이다. 애초부터 이질적인 두 조직이 합쳐진 데 따른 조직 내분과 갈등을 타파하겠다며 역대 원장들마다 조직 장악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그 사이 경영 부실과 운영 난맥상이 드러나고 전'현직 공무원 자녀 특혜 채용과 직원 후생비 편법 지급 같은 모럴해저드가 불거졌다.
정치권 출신인 제2대 원장의 경우 직원 폭행 등 인권 침해 논란에 휩싸이며 경찰 수사와 국가인권위 조사까지 받았다. 비전문가 '낙하산' 원장 체제로는 더 이상 안 된다는 여론에 따라 민간기업 대표 출신 인사를 제3대 원장으로 영입했지만, 그 역시 1년 만에 중도 사퇴하고 말았다. 표면적으로는 건강을 이유로 내세웠는데, 패션연 내부 알력과 '옥상옥' 간섭으로 "할 수 있는 게 없더라"는 것이 진짜 사퇴 이유라는 설이 파다했다. 최근에는 제2대 원장이 재임 시절 말 잘 안 듣는 직원을 '블랙리스트'에 올려 관리하고 개인 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했다는 신고가 경찰에 접수되기도 했다. 그가 빌미를 제공한 것은 사실이지만, 전전 원장 때 일이 이제 와서 다시 불거지는 것이 석연치 않다는 소문도 있다.
패션연은 원장 공석 시 3개월 이내에 신임 원장을 뽑아야 한다는 규정을 이미 어긴 상태다. 미뤄달라는 산자부 요청도 있었지만, 난국을 타개할 적임자를 찾지 못한 것이 더 큰 이유다. 패션연 이사회는 오는 13일 공모를 내고 연말쯤 신임 원장을 선임하겠다고 밝혔다. 패션연이 정상화되려면 무엇보다 능력 있는 사람을 원장으로 선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단 뽑아놓은 후에는 제대로 일을 할 수 있게 대구시와 업계가 발 벗고 도와줘야 한다. 패션연 내부의 자성이 필요한 것은 두말할 것도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