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 면적과 생산량 감소 등으로 산지 쌀값이 4년 만에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농민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매년 인건비 등 생산비는 오르는 반면 쌀값은 10년 전과 비슷한 데다 소비 감소로 쌀이 남아돌고 있기 때문이다.
이달 5일 기준 산지 평균 쌀값은 80㎏ 한 포대 15만2천224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7.7% 오르는 등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렇다고 해도 여전히 쌀값은 싼 편이다. 지난 2013년 17만원대까지 올랐던 산지 쌀값은 이후 계속된 풍년과 쌀 소비량 감소로 내림세를 보이며 지난 2013년에 비해 13.8%나 하락했다.
올 들어 산지 쌀값이 오름세로 돌아선 것은 벼 재배면적 감소 탓에 쌀 생산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경북의 벼 재배면적은 지난해 10만2천941㏊에서 올해 9만9천551㏊로 3.3% 감소했다. 전국적으로는 같은 기간 77만8천734㏊에서 75만4천716㏊로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57만6천643t이었던 경북도 쌀 생산량은 올해 55만514t으로 4.5% 줄었고, 전국적으로도 지난해 419만6천691t에서 올해 395만5천227t으로 매년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게다가 올해 벼 작황도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었다. 봄 가뭄에다 늦장마 등이 겹치는 등 고르지 못한 기후가 벼가 영그는 것을 방해했다. 이때문에 10a(아르)당 생산량은 전년보다 1.8% 떨어진 529㎏에 그칠 전망이다.
재배면적과 쌀 생산량이 줄었지만 소비 감소로 재고는 넘쳐나고 있다. 한국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2015년 62.9㎏에서 지난해 61.9㎏으로 1㎏ 줄었다. 올해는 60㎏이 채 안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지난 8월 기준 정부의 양곡 재고는 206만t에 달한다. 여기에 민간 보유량 14만3천t을 합치면 국내 쌀 재고량은 220만3천t에 육박한다. 연간 생산량의 절반이 넘는 쌀이 창고 안에 수북이 쌓여 있는 것이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권장하는 적정 재고량(80만t)보다도 2.8배나 많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올해 공공비축용 35만t, 시장격리용 37만t 등 쌀 72만t을 추가 수매하기로 했다.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따라 의무 수입 쌀 40만8천700t도 있다. 재고 부담이 현재보다 112만t 더 늘어난다는 뜻이다. 지난해 전국에서 양곡 보관비(순수 창고비)로 쓴 돈만 1천669억원에 이른다. 묵은 쌀의 가치하락과 금융비용 등을 합칠 경우 정부 부담금이 6천200억원에 이른다는 통계도 있다.
경북 시'군들도 쌀 재고 보관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창고 여유공간이 부족해 다른 시군으로 쌀을 보내야하는 경우도 있다. 의성군의 경우, 올해만 1천여t 정도를 다른 시'군 창고에 보관해야 할 형편이다.
이런 가운데 농민단체들은 쌀값이 수년간 하락해 생산비'인건비조차도 건질 수 없는 파산 지경이라고 주장한다. 경북 지역 농민들은 "올해 정부가 수매량을 늘리면서 쌀값이 다소 오르기는 했지만 여전히 물가와 원가상승률에 비하면 부족하다"면서 "원가 등을 고려하면 쌀값이 21만원대는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