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구의 평균 부채가 올해 처음으로 7천만원을 넘어섰다.
실질소득은 감소하는데 빚만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전반적인 경기 회복세에도 체감 경기는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가계신용은 1천419조1천억원이었다.
통계청의 올해 가구 추계(1천952만 가구)를 고려하면 가구당 7천269만원씩 부채를 짊어진 셈이다.
가구당 부채가 7천만원을 넘어선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가구당 부채는 수년간 꾸준히 증가해왔다. 특히 2015∼2016년 속도가 붙었다.(표)
정부가 부동산 경기를 살리기 위해 2014년 9월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을 완화한 여파로 2015∼2016년 가계부채가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제 가계신용은 2015년 10.9%, 2016년 11.6%라는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런 증가세가 유지됐다면 올해 7천만원을 돌파할 것으로 추정된다.
매년 늘어나는 가계 빚과 달리 소득은 정체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월평균 명목 가구소득은 453만7천원으로 1년 전보다 2.1% 증가했다.
그러나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소득은 월평균 439만2천원으로 1년 전보다 0.2% 감소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건설투자가 꺾일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내수 쪽에 믿을 만한 부분은 민간소비뿐"이라며 "그러나 빚은 늘고 소득은 감소하는 상황에서는 내수도 기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