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초학력 미달 중·고교생 비율 크게 늘어

교육부 전국 2만8천여명 평가

기초학력 미달에 해당하는 중'고교생의 비율이 지난해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29일 전국 중3'고2 학생의 약 3%(2만8천131명)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7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교육부가 학교 교육의 체계적 질적 관리를 위해 매년 실시하며, 국어'수학'영어 과목을 평가한다. 성취 수준에 따라 ▷우수 ▷보통 ▷기초 ▷기초학력 미달 등 네 단계로 구분한다.

평가 결과 중'고생 모두 국어'수학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많이 증가했다. 고등학생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국어 4.7%, 수학 9.2%로 전년도 대비 각각 1.5%포인트(p), 3.9%p 늘었고, 영어는 1.3%p 감소한 3.8%였다. 고교생의 '보통 학력 이상' 비율은 전 과목에서 감소했다. 국어 76.2%, 수학 76.9%, 영어 82.5%로 지난해보다 각각 7.9%p, 1.3%p, 3.5%p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국어 2.5%, 수학 6.9%로 지난해보다 각각 0.5%p, 2%p 증가했고, 영어만 4%에서 3.1%로 감소했다.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국어 85.2%, 영어 73.4%로 지난해보다 4.9%p와 1.3%p씩 줄었고, 수학(68.4%)은 지난해와 비슷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업성취도는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며 "올해는 전수조사가 아닌 표집 방식으로 치러져 시험 분위기가 달라진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밖에 성별로는 중'고 여학생 모두 전 과목에서 남학생의 성취도를 앞섰다. 지역 규모별로는 대도시가 읍'면 지역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올해 평가 결과는 기존과 달리 시'도 및 개별 학교별로 공시되지 않을 전망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