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 가계빚 증가 속도 세계 2위…국제결제은행 상반기 분석 결과

GDP대비 부채 비율 93.8% 작년 말보다 1.0%P 상승

올해 상반기 한국 가계빚 증가 속도가 세계 주요 43개국 가운데 두 번째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3.8%로 역대 최고 기록을 새로 썼다.

이는 작년 말(92.8%)보다 1.0%포인트(p) 오른 것이다.

한국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상승 폭은 BIS가 자료를 집계하는 주요 43개국 가운데 중국(2.4%p)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경제규모에 비해 가계부채가 그만큼 급증했다는 의미다.

올해 상반기 한국의 가계부채는 경제 규모뿐 아니라 소득 대비로도 빠르게 늘었다.

6월 말 기준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12.6%로 작년 말보다 0.2%p 상승했다. 이는 BIS가 집계한 주요 17개국 중 두 번째로 높은 상승폭이다. 한국 DSR은 역대 최고이면서 세계 5위 수준이다.

DSR이 높으면 소득에 비해 미래 빚 상환 부담이 크다는 의미다. 한국은 가계부채가 증가하는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금융위기 이후 DSR이 장기 평균을 계속 웃돌고 있다.

이에 대해 BIS는 "한국의 가계부채가 임계치 하한선을 넘어 경제성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경제규모 대비 가계부채가 일정 비율(GDP 대비 80~100%)을 넘어서면 장기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이 BIS의 최근 연구결과다.

문제는 한국의 경제규모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더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의 전년 대비 증가폭은 2012년 1.1%p에서 2013년 1.5%p, 2014년 1.9%p, 2015년 3.9%p, 2016년 4.7%p로 5년간 꾸준히 커졌다. 이 기간 세계 순위도 17위→12위→9위→4위→3위로 계속 올라 올해 2위까지 기록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8위 규모로 올랐다. 이 비율은 2011년 79.7%로 13위였으나 2015년 이후 8위를 유지하고 있다.

BIS는 한국을 '가계부채 비율이 높으면서도 더 상승하는 그룹'으로 분류했다.

이같이 기록적인 가계부채 폭증세에 문재인 정부가 제동을 걸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는 내년부터 DTI(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를 강화한 신(新)DTI를 도입해 다주택자를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 가능 금액을 더욱 줄인다는 내용의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지난달 발표한 바 있다.

신용상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가계부채 총량 측면에서 가계부채 증가율을 명목 GDP 증가율 이내에서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