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정은 "평창 참가 용의"…신년사서 남북 간 대화 의사 밝혀

靑 "환영" 군사적 긴장 완화 기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1일 남북 간 대화 국면 전환을 시사하는 신년사를 내놓음에 따라,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와 핵 도발로 빚어진 남북 간의 첨예한 군사적 긴장 상태가 새해 들어 완화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조선중앙TV로 내보낸 신년사 육성연설을 통해 평창동계올림픽이 "민족의 위상을 과시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며 "대표단 파견을 포함해 필요한 조처를 할 용의가 있으며 이를 위해 북남 당국이 시급히 만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북과 남은 정세를 격화시키는 일을 더는 하지 말아야 하며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평화적 환경을 마련하고자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지난해 7월 제안했지만 북한이 무응답으로 일관한 군사 당국회담과 북한이 제안한 민간단체 방북도 가능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미국에는 "미국 본토 전역이 우리의 핵 타격 사정권 안에 있다"면서 "핵 단추가 내 사무실 책상 위에 항상 놓여 있다는 것은 위협이 아닌 현실임을 똑바로 알아야 한다"고 위협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국가 핵 무력 완성의 역사적 대업을 성취했다"면서 "그 어떤 핵위협도 봉쇄 대응할 수 있으며 미국이 모험적 불장난을 할 수 없게 제압하는 강력한 억제력으로 됐다"고 주장했다.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신년사에 대해 "환영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평창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된다면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와 세계평화, 화합에 기여할 것"이라며 "청와대는 그간 남북관계 복원과 한반도 평화와 관련된 사안이라면 시기'장소'형식에 관련 없이 북한과 대화 의사가 있음을 표시해 왔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