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남북 고위급회담] 조명균 "설에 이산가족 만나자" 北 리선권 "모든 문제 대화로 풀자"

작년 이어 적십자회담 또 제안, 성사 땐 2년 4개월 만에 상봉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 9일 오전 남북회담을 위해 판문점 군사분계선(MDL)을 건너오면서 남측 연락관과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 9일 오전 남북회담을 위해 판문점 군사분계선(MDL)을 건너오면서 남측 연락관과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정부가 북한에 설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을 제안하면서 성사 여부가 주목된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9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열린 남북 고위급회담에서 "민족의 명절인 설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진행하자"며 이를 논의하기 위한 적십자회담을 제의했다. 지난해 7월 북측에 군사당국회담과 함께 적십자회담을 제안해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논의하자고 한 데 이어 고위급회담에서 또다시 같은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이에 리선권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은 "한반도 평화적 환경을 보장하고, 민족적 화해와 단합을 도모하고, 남북 간 제기되는 모든 문제를 대화와 협상을 통해 풀어나가자"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설에 이산가족이 만나면 2015년 10월 이후 2년 4개월 만에 상봉이 성사된다. 특히 올해 설(2월 16일)은 같은 달 9일 개막하는 평창동계올림픽 기간에 포함돼 있다.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에 이어 이산가족 상봉까지 합의하면 평창뿐만 아니라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도 대형 이벤트가 열리는 셈이다.

상봉 합의에 난관도 있다. 북한은 그동안 이산가족 상봉에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의 조건을 건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번에도 북한은 지난해 6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관계자 외신 인터뷰를 통해 중국 내 북한 식당에서 집단 탈북한 여성 종업원 송환 문제를 이산가족 상봉 조건으로 걸어뒀다. 또 설까지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아 시간이 촉박하다.

통일부는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이라고 해서 반드시 연휴에 날짜를 맞출 필요는 없고 과거에도 명절을 계기 삼아 다소 여유를 두고 상봉일을 잡은 적도 있다는 입장이다. 상봉 대상자 선정 등 준비 과정도 한 달가량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필요하다면 단축도 어렵지 않다.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이 인도적 차원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라는 입장이다. 조 장관 역시 자신이 실향민 2세임을 거듭 강조하면서 이산가족 상봉의 시급성을 강조해왔다.

한편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13만 명이 넘지만 2015년 10월까지 20차례 열린 행사에서 4천185건만 성사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