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남북 고위급 회담 후속조치 속도 낸다…평창·군사회담으로 대화국면

9일 열린 남북 고위급 회담 내용 정리. 자료사진 연합뉴스
9일 열린 남북 고위급 회담 내용 정리. 자료사진 연합뉴스

고위급회담 개최로 관계 복원의 물꼬를 튼 남북이 후속 회담들을 통해 대화국면에 들어간다.

정부는 10일 통일부를 중심으로 전날 열린 고위급회담에서 도출된 남북 합의의 원만한 이행을 위한 후속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고위급회담 후속조치로 당면한 가장 중요한 사항은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위한 실무회담과 군사당국회담을 성공적으로 여는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고위급회담에서 남북은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와 관련한 세부 사항을 논의하기 위한 실무회담을 개최하기로 했다.

북한은 평창올림픽에 고위급대표단과 응원단, 예술단, 참관단 등을 파견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이들의 방남 경로와 숙소, 경비 부담 원칙 등이 조율돼야 하며 개회식 공동입장과 공동응원 등에 대해서도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

평창올림픽 개막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이어서 이르면 다음 주에 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통일부 당국자는 "실무회담 개최 일정은 판문점 연락 채널을 통해 문서로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군은 군사당국회담의 격과 의제 등을 정하기 위한 내부 협의를 진행 중으로, 조만간 북측에 회담 개최를 공식적으로 제의할 것으로 보인다.

회담에서 우리 측은 서해 북방한계선(NLL)에서의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의제로 제안할 것으로 보이며, 북측은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또 북한의 평창올림픽 대표단이 육로를 통해 방남한다면 이를 위한 신변안전보장 문제에 대한 협의가 이뤄질 수도 있다.

평창과 군사 외에 당장 남북이 마주 앉을 분야는 없다는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우리는 이산가족 상봉문제를 논의할 적십자회담 개최를 원하지만 열리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면서 "현재 경협은 고려하지 않고 있고 사회문화 분야도 민간 차원의 교류가 먼저 진행돼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