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통합 대구공항 이전 논의, 지역 이해 아닌 미래 보고 나설 일

통합 대구공항 이전 후보지를 정하기 위해 대구시와 경북도, 군위군과 의성군의 4개 지방자치단체가 지난해 12월 합의한 전문가위원회 구성 문제가 난항이다. 국방부가 앞서 같은 달 4개 지자체가 합의안을 내놓으면 따르겠다고 한 이후 4개 단체장이 전문가위원회를 통한 이전 후보지 결정을 합의했지만 정작 전문가위원회 구성은 진척되지 않고 있다. 가뜩이나 지지부진한 공항 이전의 차질을 우려하는 까닭이다.

공항 이전 문제는 지난해 신정부 출범 이후 가시밭길이다. 이는 무엇보다 박근혜 정부 결정인 탓이겠지만 부처 간 불협화음과 소극성 때문이다. 공항 이전의 핵심인 국방부의 미지근한 업무 추진도 한몫했다. 여기에 공항 유치를 둘러싼 지자체 간 갈등, 대구지역의 공항 이전 반대쪽 목소리까지 겹쳐 공항 이전의 앞길은 그야말로 암초 투성이였다. 국방부의 4개 지자체 합의안 제안은 또 다른 산이었다.

이런 안팎의 난관을 뚫고 지금까지 온 것은 미래 대구경북 도약의 중대 과업인 만큼 결코 포기할 수 없다는 지역민의 뜨거운 열망 덕이었다. 국방부의 느닷없는 제안에도 망설임 없이 머리를 맞대 전문가위원회 구성을 통한 해법 마련에 나선 일도 그래서였다. 이는 대구경북 문제는 우리끼리 충분히 풀 수 있다는 오랜 역사에 바탕한 한뿌리 공동체 의식의 자신감에서 나온 결과다.

지금 대구경북 4개 지자체는 정부조차 난제로 보고 손을 떼는 모양새의 통합공항 이전 해법의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9일 4개 지자체 실무진의 전문가위원회 구성 논의와 합의 도출 실패도 그런 과정의 산물이다. 이들은 11일에 또 만난다. 1월 31일까지 전문가위원회 구성을 마친다는 4개 단체장의 합의 실천을 위해서다. 하지만 충분한 준비 끝에 만난 첫 회의에서 한 발도 내딛지 못한 일은 걱정스럽다.

합의가 쉽지 않겠지만 결코 못할 일은 아니다. 경계할 일은 대구경북 전체 발전의 큰 그림보다 눈앞의 작은 이익이나 곧 치를 지방선거의 유불리를 먼저 따지는 음모이다. 그럴 일 없겠지만 그런 단체장의 주문은 실무진 스스로 단호히 뿌리쳐야 한다. 당선이 꿈인 단체장이 아닌 지역의 앞날이 먼저이다. 실무진의 소명의식과 남은 날을 기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