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성구청이 신청사 건립을 추진(본지 2016년 12월 24일 자 6면 보도) 중인 가운데 현재 터에 청사를 신축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수성구청은 지난해 말 '신청사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 연구' 최종 보고회를 열고 현재 터에 신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냈다. 1천300억원을 들여 각각 11층과 5층 규모의 신청사 2동을 건립하는 방안이다. 현재 터가 지리적 상징성이 있는 데다 중심 업무 및 주거 지역인 동대구로와 인접해 있다는 게 이유다.
지난 1978년 건립된 현재 청사는 공간이 워낙 좁아 남측 및 서측 별관을 추가로 짓는 등 수년 전부터 신청사 건립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수성구청은 지난 2016년 신청사 건립 기금 마련에 나선 데 이어 지난해 8월부터 본격적인 사업 타당성 분석에 나섰다.
신청사 건립 부지로는 옛 남부시외버스정류장 부지와 법원 부지 등도 거론됐지만, 남부시외버스정류장은 대구시의 도시계획 변경이 필요하고 충분한 면적 확보가 어렵다는 게 단점으로 지적됐다. 법원 이전 터는 법원 이전이 선행돼야 하고 부지매입비가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점이 한계로 꼽혔다. 아울러 현재 청사 부지의 용도가 제한적이고 면적이 좁아 수성경찰서와 우방범어타운아파트를 한데 묶는 복합 개발안도 제시됐지만 현실성이 떨어져 제외됐다.
새롭게 건립될 청사는 현재 부지의 앞쪽에 본관에 해당하는 지상 11층, 지하 3층 건물을 짓고, 뒤편에는 5층 건물을 신축해 연결하는 방안이 가장 유력하다. 건물 안에는 각종 편의시설과 부대시설도 갖출 계획이다.
문제는 1천300억원에 이르는 재원 조달 방법이다. 청사 건립사업은 보조금 지급 대상이 아니어서 수성구 자체 재원으로 진행해야 한다. 수성구청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손을 잡는 위탁개발방식을 염두에 두고 있다. LH가 800억원의 재원을 조달하면 구청이 20~30년에 걸쳐 연납하는 방식이다. 나머지 500억원은 자체적으로 마련한다는 게 구청 측 설명이다.
수성구청 관계자는 "임시 청사 마련 등 아직 남은 숙제가 많다"며 "적어도 2020년은 돼야 착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