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경북 인구 1년 새 크게 감소, 경고등이 켜졌다

대구시와 경북도의 인구가 1년 새 크게 줄어들면서 사회경제적으로 위험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대구 9천326명, 경북 8천692명이 줄어 사상 최대 감소치를 기록하면서 급박한 상황을 맞게 됐다. 취업난과 학업 등으로 인한 젊은 층의 유출이 많다고는 하지만, 그 정도가 너무 급격해 걱정스럽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통계에 따르면 대구는 2014년 8천324명이 감소하면서 인구 250만 명 선이 무너졌고, 2015년 5천435명, 2016년 3천272명이 줄면서 완만한 감소세를 보였다. 그러다가 지난해에 사상 최대치인 1만 명 가까운 인구가 한꺼번에 빠져나갔는데, 그 가운데 절반 가까운 4천54명이 만 25~39세의 젊은 층으로 집계됐다. 마땅한 직장이 없고 지역 대학이 갈수록 부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방증인 만큼 우울한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경북은 인구 통계에서 2015년을 기점으로 내리막에 접어들었는데, 갈수록 감소세에 속도가 붙고 있다. 2015년에는 2천32명 늘었다가 2016년 2천428명 감소, 지난해 8천692명 감소를 나타냈다. 경북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9.4%로 초고령사회(20%) 진입을 눈앞에 둔 데다 23개 시군 가운데 17개 시군의 인구가 감소해 그야말로 암울하다.

경북도청이 2년 전 안동'예천 신도시로 이전하고, 신도시 입주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구가 이 정도로 줄었다니 뭔가 크게 잘못됐음이 분명하다. 도청 이전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증거인 만큼 경북도는 특단의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안 된다.

지역 인구의 급격한 감소는 사회경제적 토대의 붕괴를 의미한다. 이런 추세로 가다간 얼마 지나지 않아 젊은 사람은 찾아볼 수 없고 노인만 득실거리는 사회가 될지 모른다. 현재 통계 수치는 대구경북에 위험신호를 계속 보내고 있다. 대구는 젊은 층의 유출, 경북은 노령화 등에 초점을 맞춰 정책 및 사업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 지난해 말 대구시가 위기감을 느끼고 미래전략담당관실 산하에 인구정책팀을 신설한 것은 바람직한 정책이다. 대구경북은 인구 유출을 막을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