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올해 서민경제 지원에 2,500억원 투입

소상공인 경영자금 1,417억, 청년·노인 일자리 시책 추진

대구시는 올해 영세 소상공인과 일자리 취약계층을 위해 2천500억원을 들여 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최저임금과 금리 인상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과 개인을 지원하고자 기존 사업을 강화하고 신규 사업을 발굴할 방침이다.

시는 소상공인의 경영부담 개선과 청년'노인의 일자리 확보, 긴급구호 등을 위해 ▷기업지원 ▷취약계층지원 ▷근로감독 및 물가안정 등 3개 분야에 26개 사업을 시행한다. 전체 사업비 2천496억원으로, 국비 1천937억원과 시비 496억원, 구'군비 63억원 등이 투입된다.

기업지원 분야의 경우 소상공인을 위한 경영안정자금에 1천417억원을 책정했다. 낮은 수수료로 납품대금을 현금화하는 상생결제시스템을 확산하고, 지역 금융권과 협의체를 구성해 고금리 대출을 줄이고 저리의 정책자금 활용을 유도한다. 시는 '현장방문단'을 운영해 산업현장'소상공인'취약계층의 목소리를 듣는 한편, '상가임대차상담실' '소기업'소상공인 성공지원센터' 등 현장 만남을 확대할 계획이다.

취약계층 지원 분야는 해고가 쉬운 취약계층인 청년과 노인을 위한 일자리 시책을 추진한다. 시는 '대구 일자리브릿지 프로젝트'를 통해 재학'구직'재직으로 이어지는 청년들의 생애주기별 지원체계를 마련했다. 더불어 청년 디딤돌 사업과 고용혁신프로젝트, 청년추가고용장려금 등의 정책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노인일자리 지원사업과 시니어클럽 특성화 사업 등도 시행한다.

근로감독 강화 및 물가안정 분야에선 대구시와 대구지방고용노동청 등 관계기관이 협력해 근로계약서 미작성, 임금 미지급 등에 대해 특별점검을 하고, 아르바이트생과 여성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불법대부업 단속을 강화한다. 또한 최저임금 인상이 물가상승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공공요금 안정관리와 서민물가 모니터링 활동을 지속할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최저임금 인상은 올해 지역경제가 직면한 가장 큰 리스크 중 하나이다"며 "그 영향을 분석해 나가는 동시에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자금지원과 취약계층 일자리 안정정책을 병행하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