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며 서민의 대표 목돈 마련 상품으로 꼽히던 정기적금이 외면받고 있다.
1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예금은행의 정기적금 잔액은 34조4천556억원으로 1년 전보다 3.2%(1조1천518억원) 감소했다.
정기적금은 금융기관에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예금하고 만기일에 약정 금리로 돌려받는 상품이다. 주로 서민들이 목돈을 만들려고 많이 가입하며 2000년대 후반까지 인기를 끌었다.
2009년 1월 16조1천226억원이던 정기적금 잔액은 꾸준히 불어나 2013년 12월 38조5천934억원으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2014년부터 정기적금 잔액 증가 속도는 둔화하더니 2014년 11월부터 마이너스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후 증가율은 가장 최근인 지난해 11월까지 마이너스를 벗어나지 못했다.
정기적금 잔액이 정점이던 2013년 12월과 비교하면 3년 11개월 만에 4조1천378억원 줄었다.
정기적금 감소 배경으로는 저금리가 첫손으로 꼽힌다.
2013년 초반만 해도 3%대 정기적금을 찾아볼 수 있었지만 기준금리가 지난해 사상 최저로 내려가며 2%대 정기적금도 보기 어려워졌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신규 취급액 기준 평균 정기적금 금리는 지난해 11월 연 1.67%였다. 쥐꼬리 이자가 붙는 적금에 돈을 붓기보다 좀 더 나은 수익성을 찾아 부동산, 주식 등에 투자한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