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은 바깥일, 여성은 집안일을 한다는 성 역할의 고정관념이 무너지고 있다는 사실이 통계로도 나타나고 있다.
집에서 전적으로 아이를 돌보거나 살림을 하는 남성은 빠른 속도로 늘고 있지만, 집안일만 하는 여성은 감소하고 있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비경제활동인구 중 육아'가사를 하는 남성은 모두 17만 명으로, 기준을 새로 정립한 2003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가사활동에 전념하는 남성은 16만6천 명이었고, 육아에 힘쓰는 남성은 4천 명으로 집계됐다.
전업 육아'가사 남성은 2003년 10만6천 명을 시작으로 2010년 16만1천 명까지 증가했다가 2011'2012년 각각 14만7천 명, 2013년 14만4천 명, 2014년에는 13만 명까지 감소했다. 하지만 2015년 15만 명으로 증가로 전환하고서 2016년 16만1천 명, 작년 17만 명까지 늘어 가장 높은 수준에 다다랐다. 이 증가세는 가사 전담 남성이 이끌고 있다.
통계청은 초등학교 입학 전인 미취학 아동을 돌보기 위해 집에 있는 이를 '육아'로 구분하고, 이외에 가정에서 가사를 하는 사람을 '가사'로 분류한다.
통계청 관계자는 "남편이 집안일을 돕거나 육아 휴직을 한다고 해서 가사나 육아로 분류되지는 않는다"며 "바깥에서 일하지 않고 집을 돌보는 일을 하는 이들에 한해서 관련 통계를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담 육아를 하는 남성은 2015년 8천 명, 2016년 7천 명, 작년 4천 명으로 다소 감소하고 있다. 가사만을 하는 남성은 2015년 14만2천 명, 2016년 15만4천 명, 작년 16만6천 명으로 급증했다.
그러나 육아'가사만을 하는 여성의 수는 작년 694만5천 명을 기록해 정반대의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여성은 2014년 714만3천 명으로 처음으로 전년보다 줄고서 4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2015년 708만5천 명, 2016년 704만3천 명, 작년 694만5천 명으로 줄었다. 특히 육아'가사 여성의 수가 600만 명대로 되돌아간 것은 2009년(699만9천 명) 후 8년 만이다.
육아와 가사에 전념하는 남성의 수는 증가하는 반면 여성의 수는 감소하는 이유로는 일단 고령화가 꼽힌다.
은퇴 후 일을 하지 않고 집 안에 있는 남성이 가사를 전담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아울러 주로 30대 여성을 중심으로 고용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한 요인이다. 성 역할 고정관념도 따라서 무너지고 있다.
작년 상반기 30대 여성 고용률은 59.2%로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9년 이래 반기 기준으로 가장 높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