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에 실패한 흡연자들은 흔히 "살이 너무 많이 쪄서 담배를 끊을 수 없었다"고 변명하곤 한다. 살이 찌는 부작용으로 금연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억지' 주장을 담은 말이다.
하지만 이제 이런 변명은 통하지 않을 전망이다. 담배를 끊은 후 살이 찌더라도 심근경색과 뇌졸중을 줄이는 금연의 긍정적인 효과는 그대로라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서울대 의대 가정의학과 이기현(분당서울대병원)'박상민(서울대병원) 교수, 김규웅(대학원 의과학과) 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2002∼2005년 사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에서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이 없었던 40세 이상 남성 10만8천242명을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추적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저명 국제학술지인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 1월호에 발표됐다.
논문을 보면 전체 조사 대상자 중 46.2%(4만9천997명)가 지속적인 흡연자였으며, 48.2%(5만2천218명)가 비흡연자, 5.6%(6천27명)가 금연자로 각각 분류됐다.
금연자 중 금연 이후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BMI가 1(㎏/㎡) 이상 증가한 사람은 27.1%(1천633명)였다. 담배를 끊고 나서 4명 중 1명 이상은 체중이 불어난 셈이다. 반면 61.5%(3천710명)는 금연 후에도 BMI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11.3%(684명)는 되레 BMI가 1 이상 감소한 것으로 평가됐다.
연구팀은 금연 이후 BMI 증감 여부가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이 결과, BMI가 증가한 금연자의 경우 지속적인 흡연자에 견줘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도가 각각 67%, 25% 감소했다. 또 BMI에 변화가 없는 금연자도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도가 각각 45%, 25%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금연 이후 BMI가 줄어든 금연자는 위험도 감소 효과가 심근경색 9%, 뇌졸중 14%에 머물렀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BMI가 줄어드는 건 조사 기간에 다른 기저질환이 생김으로써 금연에 따른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도 감소 효과를 반감시켰기 때문일 수 있다는 추정을 내놨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