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재임 기간 국가정보원 자금이 청와대로 흘러간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21일 류충렬 전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을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이어 22일 '관봉' 자금 전달에 관여한 장석명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부르기로 하는 등 MB 정부의 국정원 불법자금 수수 및 '민간인 사찰 의혹 무마' 사건과 관련한 인사들을 줄소환하고 있다.
21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이날 국정원 불법자금 수수 사건과 관련해 류 전 관리관을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류 전 관리관은 장진수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이 불법사찰과 관련한 증거인멸 지시의 입막음용으로 관봉을 자신에게 전달해줬다고 지목한 인물이다.
장 전 주무관은 2011년 4월 자신이 류 전 관리관에게서 관봉을 받았고, 류 전 관리관으로부터 장석명 전 비서관이 마련한 자금이라는 설명을 들었다고 폭로한 바 있다.
앞서 국정원 자금 불법수수 혐의로 구속된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은 국정원에서 받은 5천만원을 민간인 사찰 관련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썼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뢰 혐의는 부인하면서도 입막음용 자금이 전달된 사실은 인정한 셈이다.
장 전 주무관에게 건네진 돈이 국정원 자금이었다고 김 전 비서관이 시인함에 따라 MB 정부의 민간인 사찰 의혹 사건은 본격적인 재수사 국면으로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검찰은 류 전 관리관을 상대로 관봉 전달 당시 경위를 파악할 방침이다.
이어 22일 오전 10시 장 전 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그가 조달했다는 의혹을 받는 관봉의 출처를 캐물을 예정이다.
민간인 사찰 의혹 사건은 민간인인 김종익 전 KB한마음 대표가 블로그에 이 전 대통령을 희화화한 '쥐코' 동영상을 올렸다가 지원관실의 전방위 불법사찰을 받은 끝에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다는 내용이 골자다.
검찰은 2010년 1차 수사에서 사찰이 실제로 있었음을 확인하고 이인규 전 공직윤리지원관 등 사찰 관련자 3명을 강요 및 직권남용 등 혐의로 기소했으나 그 윗선은 밝히지 못했다.
이후 장 전 주무관이 2012년 3월 불법사찰을 넘어 증거인멸 지시가 있었고 입막음용 '관봉'을 받았다고 폭로해 검찰은 재수사에 나섰다.
그러나 2차 수사에서도 검찰은 '내가 증거인멸의 몸통'이라고 자인한 이영호 전 고용노사비서관을 비롯해 일부 관련자를 증거인멸 교사 혐의로 기소했을 뿐 '윗선' 등 사건 전모를 밝히는 데에는 미진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