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밝은 눈 클리닉)눈꺼풀처짐(안검하수) 아십니까?

눈을 떴을 때 정상적인 위눈꺼풀의 위치는 검은 눈동자(각막)를 1~2mm 정도 살짝 덮는 정도입니다. 위눈꺼풀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는 위눈꺼풀당김기 근육들의 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이상에 의해 위눈꺼풀이 정상적인 위치보다 더 아래로 처져 있을 때 눈꺼풀처짐(안검하수)라 부릅니다.

눈꺼풀처짐은 발생시기에 따라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은 다시 원인에 따라 널힘줄성, 근성, 신경성, 기계성, 외상성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의 경우는 선천성이 대부분이며 성인의 경우 후천성이 더 많습니다.

널힘줄성눈꺼풀처짐은 눈꺼풀처짐 환자 중의 가장 흔한 형태이며, 눈꺼풀올림근(위눈꺼풀에 있는 눈꺼풀을 들어올리는 근육)의 널힘줄(막처럼 얇고 넓은 힘줄)에 변화가 나타나면서 발생합니다. 널힘줄성눈꺼풀처짐의 가장 흔한 원인은 나이가 들면서 널힘줄이 늘어나거나 부착된 눈꺼풀판으로부터 떨어져 나타나는 퇴행성입니다. 그리고 외상, 눈수술, 반복되는 눈꺼풀 부종, 임신, 콘택트렌즈의 장기 착용 등이 원인이 됩니다. 특히 콘택트렌즈를 오랫동안 착용하게 되면 눈꺼풀 뒤쪽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게 돼 널힘줄의 부착부 파열을 일으켜 눈꺼풀처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근성눈꺼풀처짐은 눈꺼풀올림근 등의 위눈꺼풀당김기 근육 자체의 이상으로 눈꺼풀처짐이 발생하는 경우로 선천성눈꺼풀처짐이 이에 해당합니다. 선천성눈꺼풀처짐은 어린이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근성눈꺼풀처짐으로 눈꺼풀올림근 자체의 발달장애를 보입니다. 눈꺼풀처짐은 단안성 또는 양안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정상적인 근육의 탄력성이 떨어져 아래쪽을 쳐다볼 때는 눈꺼풀 내림지연현상과 눈을 완전히 감지 못하는 현상(토끼눈)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선천눈꺼풀처짐은 대부분 유전적인 영향 없이 나타나지만 한번씩 상염색체우성유전이나 돌연변이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선천성근성눈꺼풀처짐에는 마르쿠스-건 증후군, 눈꺼풀틈새축소증후군 등이 포함됩니다.

후천성으로도 근성눈꺼풀처짐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에는 만성진행성외안근마비, 근긴장성 퇴행위축 등과 같은 드문 질환 등이 있습니다. 또한 부신피질호르몬 안약을 장기간 사용했을 때 눈꺼풀처짐이 근병증의 일종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안약을 끊으면 서서히 호전될 수 있습니다. 중증근무력증도 근신경전달의 차단이 원인이지만 임상적으로는 근성눈꺼풀처짐과 같은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신경성눈꺼풀처짐은 제3뇌신경의 대뇌 핵에서부터 눈꺼풀올림근에 이르기까지의 신경 경로 중 어느 한 부위에 이상이 있어 눈꺼풀처짐이 발생하는 경우로 혈관질환, 종양, 신경독성, 감염 등이 있습니다. 동안신경마비와 호르너증후군 등이 포함됩니다.

외상성눈꺼풀처짐은 눈 주위 외상 후 눈꺼풀올림근이나 눈꺼풀올림근널힘줄의 손상으로 발생합니다. 개방성 열상 없이 외상 후 나타나는 눈꺼풀처짐은 6개월이상 충분히 기다려본 후 호전이 없으면 교정수술을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지금까지 본 것처럼 눈꺼풀처짐(안검하수)의 원인이 다양하므로 가까운 안과를 방문해 전문의와 상의한 후 그 원인에 따른 치료나 수술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도움말 잘보는안과 문홍재 원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