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북도지사 선거, 소지역주의 구태 종식 계기 돼야

차기 경상북도지사를 뽑기 위한 자유한국당 당내 경선이 그 어느 해보다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김관용 도지사가 3선 연임 제한에 걸려 출마할 수 없는 상황에서 차기 도백을 꿈꾸는 현역 국회의원과 기초자치단체장, 고위 공직자들이 자유한국당 공천을 받기 위해 일찌감치 출사표를 던지고 경합을 벌이고 있다.

도지사 선거에 유력 인사들이 많이 나와 백가쟁명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자유한국당 공천=당선'이라는 인식이 팽배해지면서 경선이 과열 양상으로 치닫고 있고 그 결과 "이번에는 우리 지역 출신이 도지사가 돼야 한다"는 소지역주의와 이에 편승한 선거 전략이 다시금 나타나고 있는 것은 짚지 않을 수 없다.

소지역주의 폐단은 과거 경북도지사 선거에서 드러난 적이 여러 번 있다. 특히 2006년 한나라당 경선에서는 중서부권 김관용, 북부권 김광원, 동남권 정장식 등 삼각구도가 형성되면서 적잖은 후유증을 남겼다. 이번 선거에서도 후보자 출신지별로 '도청 소재지 북부 도지사론' '동해 벨트 도지사론' '중부 계승론' 등 소지역주의를 부추기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우려스럽다.

정치인이 출신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율을 얻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과해서는 안 된다. 현실적으로도 자신의 지역에서 도지사가 배출된다고 해서 더 배려를 받는다거나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믿음만큼 시대착오적인 것도 없다. 더구나 소지역주의는 경북 전체 발전에도 결코 이롭지 않다. 소지역주의에 매몰된 민심도 문제지만, 인구 270만 경상북도 도정을 책임지겠다고 외치는 후보자들이 소지역주의를 부채질하고 권역별 합종연횡 같은 구시대적 득표 전략을 구사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런 점에서 자유한국당이 이번 경북도지사 경선에서 일반 여론조사 비율을 50%로 높이고 책임당원 모바일 투표제를 도입하는 것은 긍정적이다. 이 경선 룰이 '바닥 민심' 장악에 성공한 후보자가 유리해지는 데 일조하리라는 기대감도 생긴다. 6월 지방선거는 소지역주의 구태를 종식시키는 계기가 돼야 하며 경북도지사 선거는 그 하이라이트여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