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간 '빅 매치' 성사 여부에 관심이 집중됐던 6'13 지방선거 대구시장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의 불출마가 유력시되면서 시선은 다시 자유한국당 경선 주자에 몰리고 있다. 김 장관이 나오지 않는다면 보수 성향이 강한 대구 정서를 고려할 때 표심이 한국당 쪽으로 쏠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다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등을 거치면서 보수정당에 쌓인 분노 등으로 민주당 지지세가 대구에서 확장된 만큼 '김부겸 낙수 효과'가 민주당 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다 민주당 후보 단일화를 통해 지난 지방선거에서처럼 '제2의 김부겸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그럼에도 김 장관의 불출마가 그의 대항마를 고심했던 한국당으로서는 시름을 덜게 하는 요인임은 분명하다. 한국당 후보가 되면 당선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진다는 인식 때문에 한국당 경선이 더욱 치열해질 수도 있다. 김 장관 출마 시 대안 부재론을 들어 현역인 권영진 시장에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는 선거구도가 깨지거나 흔들리면서 다른 출마 예정자들에게도 표심을 호소할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경선 열기를 끌어올릴 곳이 필요한 한국당 입장에서도 대구시장 경선이 밋밋하게 흐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국당 내부에서는 당내 경선 흥행을 위해 '현역 광역단체장 VS 도전자' 구도를 만들기 위한 전략을 짜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내부에서 경쟁자가 없을 정도로 강력한 현역 광역단체장이 아니라면 모두 경선을 거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는 얘기다. 대구에 대해선 홍준표 대표가 일찌감치 경선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
당이 원하는 구도는 이미 만들어졌다. 5일 현재 권 시장을 상대로 김재수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이재만 전 최고위원, 이진훈 수성구청장 등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현재까지는 현역 프리미엄을 등에 업은 권 시장이 다른 출마 예정자보다 다소 앞섰다는 관측이 많지만, 홍 대표와의 갈등설이 경선과정에 미칠 영향은 변수다.
경선에서 일반국민 여론조사와 당원 투표 비중이 7대 3에서 5대 5로 변경되면서 당원의 영향력이 커진 점 또한 승패를 가릴 주요 요소가 됐다. 시정 운영에 대한 '도전자'들의 공격을 권 시장이 어떻게 대처하는지도 경선 집중도를 높일 포인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