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연구실에서 공부만 하다 온 박사학위 소지자, 기업에 쓸모 없다?

연구실에서 공부만 하다 온 박사, 기업에 쓸모 없어. 학사모 자료사진. 매일신문DB
연구실에서 공부만 하다 온 박사, 기업에 쓸모 없어. 학사모 자료사진. 매일신문DB

일본 기업들이 박사학위 소지자 채용을 늘리면 오히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12일 니혼게이자이 경제연구센터는 총무성과 니혼게이자이 신문의 조사결과를 분석한 연구에서 이같이 밝혔다. 사원 가운데 박사학위 소지자의 비중이 높아지면 1인당 매출액 등을 포함한 노동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난 것. 니혼게이자이 경제연구센터 관계자는 " 2000년대 대부분의 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경향"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니혼게이자이 경제연구센터는 "대학 박사 과정에서 기업의 응용연구에 대처할 수 있는 인재가 육성되지 못하고 있다"며 "결국 박사학위 소지자의 기획능력과 적극적인 제안능력이 부족해지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대학의 연구교육환경이 외국에 뒤진다는 얘기"라고 꼬집었다.

일본에서는 매년 1만5천명 이상의 박사학위 소지자가 배출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