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립국악단 정기연주회 내달 2일 대구문화예술회관

휘영청 대보름 달빛 아래, 국악'민속놀이 신명 한마당

지난해 정기연주회 때의 마무리 판굿 장면. 대구시립국악단 제공
지난해 정기연주회 때의 마무리 판굿 장면. 대구시립국악단 제공
이번 공연에서 변검 공연을 펼칠 배우 구본진.
이번 공연에서 변검 공연을 펼칠 배우 구본진.

정월대보름 날 왕의 출궁

스토리텔링으로 3막 구성

궁중음악, 판소리, 변검

한 해 안녕 기원 판굿 볼거리

"대보름 저녁에 우리 음악으로 멋지게 한판 놀아봅시다."

대구시립국악단(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 이현창)은 올해 첫 정기연주회(제190회) '출궁'(出宮)을 3월 2일

(금) 오후 7시 30분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 무대에 올린다.

이번 공연은 정월 대보름(음력 1월15일)에 맞춰 궁중음악, 한국무용, 판굿, 그리고 판소리 입체창과 변검 공연으로 화려하게 꾸며진다.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인 명창 윤진철과 국립민속국악원 창극단원 방수미의 입체창 '춘향가 중 이별대목'과 중국 천극변검 사사 구본진의 변검 공연이 펼쳐진다.

1막 '출궁'은 대취타와 취타, 춘앵무 공연으로 시작된다. 2막 '나들이'는 입체창과 승무가 이어지며, 3막 '대보름 어울림'은 등불패의 판굿, 소고춤, 변검으로 마무리된다.

1막 '출궁'에서는 정월 대보름을 백성들과 함께 즐기고자 한 왕의 행차가 그려지는데, 궁중음악과 궁중무용으로 꾸며진다. 조선시대 왕의 행차 때 연주되던 행진음악인 '대취타'가 공연의 시작을 알린다. '명금일하대취타'(鳴金一下大吹打)라는 호령과 함께 징을 치면 왕의 행차를 알리는 위엄있고 기운찬 연주가 울려퍼진다. 이어 연주되는 '취타'는 '대취타'를 관현악곡으로 연주한 것으로 궁중 연례악의 하나다. 궁중무용 '춘앵무'는 봄 꾀꼬리의 노래를 상징하는 춤으로 본래는 독무지만, 이날 공연에서는 화려하고 웅장한 군무 형태로 재구성했다.

2막 '왕의 민간 나들이'는 명창 윤진철과 방수미가 출연해 서로 대화하듯 이야기를 이어가며 춘향과 이도령의 절절한 이별의 순간을 판소리로 들려준다. 절절한 판소리 뒤에는 묵직한 '승무' 공연이 펼쳐진다. 대구시립국악단 한국무용팀이 선사하는 민속무용 '승무'는 인욕의 세계와 무거운 업(業), 해탈의 희열을 표현한 춤으로 정중동의 춤사위가 신비로움을 선사한다.

3막은 왕과 백성이 모두 어우러지는 명절 잔치다. '등불패'가 출연하여 음악과 놀이의 종합예술인 '판굿'을 벌인다. 음력 정초에 땅의 신을 진압함으로써 악귀와 잡신을 물리치고 마을의 안녕과 풍작을 기원하던 민속놀이로 신명이 넘친다. 대미를 장식할 '변검'은 고도의 숙련된 기술의 배우가 극의 흐름에 따라 얼굴에 쓴 탈(검보)을 순식간에 바꿔가며 연기하는데, 긴장감이 넘친다.

이번 공연 '출궁'은 올해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에서 열리는 유일한 정기연주회로 4월(수성아트피아), 5월

(웃는얼굴아트센터), 9월(서구문화회관), 10월(북구어울아트센터), 12월

(천마아트센터)에 대구 투어공연을 계획 중이다.

이현창 예술감독은 "이번 정월 대보름 기념공연으로 관객들과 신명나게 어울리는 시간을 가지고, 또 앞으로 다른 공연장에서 국악을 사랑하는 대구팬들과 더 가깝게 만나는 한 해가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입장료는 일반 1만원, 학생 5천원. 문의 053)606-6193, 예매 티켓링크 1588-7890(www.ticketlink.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