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시코쿠에 있는 도쿠시마대학을 다닌 스기우라 에이고(23) 씨는 최근 한 대기업 도쿄 본사 입사를 확정했다. 이른바 신졸(新卒'졸업하자마자 취업하는 것을 뜻하는 일본 은어) 취업이다.
스기우라 씨가 빠르게 취업에 성공한 데는 일본 정부와 도쿠시마현의 청년정책 역할이 컸다. 고등학교 때부터 정부가 제공하는 커리어 교육 및 진로 활동을 통해 나아갈 길을 확실히 정했고, 대학에 와서도 도쿠시마현 노동국이 개최한 취업박람회나 인턴십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직종에서 경험을 쌓았다. 스기우라 씨는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돼 이를 잘 이용하기만 해도 취업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일본의 청년정책은 주로 청년층이 교육에서 고용시장으로 원활히 이행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버블경제 붕괴 이후 급격히 증가한 니트(NEET'구직단념자)족이나 아르바이트로 연명하는 청년 프리터족 등을 '정규 노동시장'으로 편입시킬 수 있다면 경제활동인구가 늘어 내수시장에 활력이 생긴다는 구상이다. 고교 및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각종 진로 체험활동을 무료로 제공하고, 각 기업 인턴십 프로그램 정보를 직접 제공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지자체 노동국 차원에서 직업소개'채용상담 등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공공직업안정소'(헬로워크)를 운영하고, 이들을 채용한 기업에 1명당 최대 70만엔(700만원 상당)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45세 미만 프리터'니트족을 대상으로는 지자체에서 직업훈련기관과 함께 '잡 카페'를 운영, 지역 실정에 맞는 적성판단, 취업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청년정책은 청년들의 삶의 질을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실행 방안은 나라마다 다른데, 예를 들어 프랑스는 18~26세라면 누구나 청년수당인 '알로카시옹'을 매달 452유로(약 58만원)가량 지급하고 있다. 이에 더해 경제활동인구를 늘리기 위한 '청년고용보장(잡 개런티)정책' 역시 같은 EU 내 선진 사례가 퍼져 나가고 있다. 스웨덴의 경우 2014년부터 16~24세의 모든 청년이 실직 90일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에 편입돼 구직 코칭과 근로경험 제공, 창업자금 지원 등 적극적인 노동시장 대책을 제공받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