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경선 과정에서부터 마구 쏟아지는 가짜 뉴스를 없애기 위해서는 거짓말로 비방만 일삼는 후보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각 정당이 제대로 된 공천 규칙부터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정태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본선도 아닌 당내 경선에서 네거티브 전략이 나오는 것은 공천 룰과 깊은 연관이 있다"며 "공천을 관리하는 기구가 지난 선거에서 경선했던 지역을 이번에는 전략공천하는 등 오락가락하다 보니 이런 현상이 불거진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후보들이 자신의 선거구가 경선 지역이 될지 전략공천 지역이 될지 모르다 보니 경쟁자를 모두 제거하는 전략을 구사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 해서는 안 되는 행동을 한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또 "마타도어'가짜 뉴스 등을 없애고 유권자가 여기에 휘둘리지 않게 하려면 언론과 선관위를 통한 공식적인 정책 홍보 외에 모든 선거 운동을 하지 못하게 해야 하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그렇다면 유권자들이 정신을 차려야 하는데 유권자 스스로 인터넷을 통해 퍼지는 무책임하고 불확실한 이야기보다는 언론이 검증한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게 바로 현실적 대안"이라고 말했다.
이강형 경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에 따르면 네거티브, 가짜 뉴스 등은 후보 간 경쟁이 치열할 때 2'3등이 구사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지방선거는 정책이나 인물 경쟁보다는 당에 따라서 승패가 결정되는 구조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자유한국당 공천만 받으면 당선되는 대구경북 정치 환경이다 보니 공천 과정에서도 가짜 뉴스 등이 난무한다"는 원인 분석을 내놨다. 이 교수는 아울러 "후보 입장에서 좋은 정책을 개발하는 것은 고비용 저효율"이라며 "가짜 뉴스는 하나 만드는 데 비용은 얼마 들지 않지만 효과는 크다 보니 선거 때마다 이런 현상이 반복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특히 "당하는 쪽에서는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입증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 사이 바이럴마케팅처럼 입에서 입을 타고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며 "이런 점 때문에 후보자들이 네거티브 전략을 선택하고 싶은 유혹을 뿌리치기 힘들다"고 말했다. 또 "네거티브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상대 정책의 허점을 찾아 이를 지적하는 방식의 긍정적인 네거티브는 필요하지만 근거 없는 비방 등은 후보 스스로 자제하려는 도덕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