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교육감 선거에 강은희, 김태일, 김사열, 이태열 등 후보 4명이 출마할 경우 오차범위 안에서 접전을 펼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지지후보를 묻는 질문에 '없음' 또는 '모름'으로 답하거나 아예 답변을 거부한 응답자가 49.4%에 달해 후보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아울러 대구시민들은 선호하는 차기 대구시교육감의 이념 성향을 묻는 질문에 보수'중도'진보를 골고루 선택했다.
◆후보들 오차범위 내 접전
매일신문과 TBC는 지난 17, 18일 여론조사전문회사인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 대구시 거주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천8명을 대상으로 대구시교육감 선거에서 지지하는 후보를 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p)했다.
분석 결과 강은희 전 여성가족부 장관 14.7%, 김태일 영남대 교수 12.9%, 김사열 전 경북대 총장임용 1순위 후보자 12.0%, 이태열 전 대구시 남부교육지원청 교육장 8.3%, 기타 2.6% 등으로 집계됐다. 적극 투표 참여 의사를 밝힌 응답자들의 답변 역시 지지율 조사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교사 출신인 강 전 장관은 연령별로는 30대(20.2%)와 50대(18.7%), 정치적 성향별로는 보수 성향(21.6%) 응답자의 지지를 많이 받았다. 강 전 장관은 20대 연령층에서는 8.1%의 낮은 지지율을 기록했고 중도성향 응답자들의 지지도 14.2%에 머물렀다. 김 교수는 진보 성향(16.5%)으로 나이가 50대(20.7%)인 응답자들이 가장 선호했다. 반면 60대 이상 연령층에선 9.5%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보수 성향이라고 답한 응답자로부터는 지지율 12.1%를 거뒀다.
김 전 총장임용 후보자는 중도 성향(17.8%) 유권자의 지지를 가장 많이 받았으며 20대(18.4%)와 30대(17.0%) 연령층에서 상대적으로 지지도가 높았다. 하지만 60대와 50대에서의 지지율은 각각 7.3%와 9.1%를 기록했다. 이 전 교육장은 상대적으로 20대(12.5%)와 30대(10.1%) 응답자의 지지를 많이 받았다.
이번 조사에서 부동층이 49.4%로 나타나면서 앞으로 각 후보들의 부동층 흡수 노력이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지지층이 겹치는 후보 사이에 합종연횡도 활발하게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보수 교육감≒진보 교육감
'어떤 정치적 성향을 가진 후보가 차기 대구시교육감에 당선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28.8%는 진보를 선택했다. 보수와 중도라고 답한 응답자는 각각 25.9%와 23.7%를 차지했다. 오차범위 내에서 답변이 엇갈린 셈이다.
하지만 연령대별로는 지지하는 교육감의 정치적 성향이 극명하게 달랐다. 50대(31.2%)와 60대(39.9%) 이상 고령층에선 보수 후보를 선호한 반면 20대(37.1%)에선 중도 후보의 인기가 좋았다. 60대 이상 연령층에선 중도 성향 지지가 15.8%, 진보 성향 지지가 9.7%로 나타났다. 20대에선 진보 성향 지지가 27.3%, 보수 성향 지지가 12.2%를 기록했다. 30대(45.3%)와 40대(42.2%)에선 진보 성향 후보 지지율이 높았다. 30대와 40대 응답자 가운데 보수 성향 후보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힌 응답비중은 각각 20.2%와 19.7%를 기록했고 중도 성향 후보를 지지한다는 의견은 각각 24.9%와 21.3%로 나타났다.
다만, 적극 투표층에선 보수 성향 후보에 대한 지지 응답이 31.1%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적극 투표층 가운데 진보와 중도 성향 후보 지지율은 각각 29.1%와 21.7%를 기록했다.
◆'깜깜이 선거' 우려, 교육감 후보 나열 순서는 정당과 무관
각 후보 사이의 지지율 격차가 크지 않고 유권자들이 선호하는 차기 대구시교육감의 정치적 성향도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음에 따라 오는 6월 교육감 선거가 '깜깜이 선거'로 치러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누구를 뽑아도 대구교육이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란 '방관 심리'까지 더해질 경우 교육감 선거는 더욱더 후보자 인지도와 후보자 나열 순서에 따라 출렁일 수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특정정당 지지 성향이 강한 지역에서는 후보자 나열 순서가 교육감 선거를 좌우한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지난 2014년 지방선거 당시에도 교육감 후보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던 유권자들이 교육감 후보의 나열 순서가 정당 기호인 줄 알고 '줄 투표'(특정 정당 후보 모두 선택)를 한 사례가 많았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이사는 "각 캠프에서 후보 알리기에 한계를 느끼면 방과 후 학습 무료 등 자극적 공약으로 선거판을 흐릴 수 있다"며 "실현 불가능한 공약을 걸러내는 노력과 함께 교육감 후보 나열 순서는 정당과 무관하다는 사실도 유권자들이 유념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 [전문]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