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3,4-경북 4,5곳 도시재생 후보지

지자체 자율선정 방식…전국적으로 100곳 안팎

올해 도시재생 뉴딜사업 후보지로 대구 3, 4곳과 경북 4, 5곳이 선정된다. 향후 중앙정부 선정 결과에 따라 늘어날 가능성도 있어 어느 지역에서 도시재생이 이뤄질지 관심이 모아진다.

정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11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어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올해 전국 100곳 안팎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지를 8월까지 선정하기로 했다. 100곳 중 70곳은 해당 시'도가 직접 선정하고 나머지 30곳은 중앙정부가 선정한다. 정부가 선정권을 가진 30곳은 지자체 신청형 15곳과 공공기관 제안형 15곳으로 나뉜다. 시'도가 직접 선정하는 70곳은 우리동네 살리기형과 주거정비 지원형, 일반 근린형 등 소규모 도시재생 모델이다.

정부는 이 70곳에 대해 지자체가 예산총액 범위 내에서 사업 유형이나 수를 탄력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예산총액 배분 자율선정' 방식으로 지원한다. 투입되는 국고 총액은 5천550억원이다. 대구시는 3, 4곳에 300억원, 경북도는 4, 5곳에 400억원이 지원된다. 향후 지자체 자체 선정 평가 기준과 절차 등이 나오면 대구시와 경북도는 선정 과정에 본격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올해 사업지 선정 시에는 노후 주거지 정비 및 도시 경쟁력 회복 등 도시재생 뉴딜정책 목표를 실현하고 지역 특화 자산을 활용하는 사업들을 중점적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특히 청년 스타트업 등을 지원하는 혁신공간 조성 사업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사업 등을 중점적으로 선정한다. 역사'문화, 경관특화, 골목상권, 여성친화, 농촌 특화발전 등 지역 특화사업을 10곳 내외로 선정해 지역의 혁신거점으로 조성한다.

정부는 7월 초부터 올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지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사업지 선정은 적격성 검증 절차를 거쳐 8월 말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