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반도 비핵화' 담판만 남았다…남북 정상회담 D-1

文대통령, 김위원장 '완전한 의지' 확답 받아야 '종전 선언 로드맵' 협의 잰걸음

27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열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의 남북 정상회담장이 공개됐다. 정상회담 테이블은 궁궐의 교각 난간 형태를 모티브로 두 개의 다리가 하나로 합쳐지는 모습으로 제작됐다. 또 정상들이 앉는 테이블 중앙 지점의 테이블 폭을 2018㎜로 제작, 한반도 평화 정착 실현을 위한 역사적인 2018년 남북 정상회담을 상징하는 의미를 담았다. 회담장 배경에는 금강산의 높고 푸른 기상을 담고 있는 신장식 작가의
27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열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의 남북 정상회담장이 공개됐다. 정상회담 테이블은 궁궐의 교각 난간 형태를 모티브로 두 개의 다리가 하나로 합쳐지는 모습으로 제작됐다. 또 정상들이 앉는 테이블 중앙 지점의 테이블 폭을 2018㎜로 제작, 한반도 평화 정착 실현을 위한 역사적인 2018년 남북 정상회담을 상징하는 의미를 담았다. 회담장 배경에는 금강산의 높고 푸른 기상을 담고 있는 신장식 작가의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 작품이 걸려 있다. 실내 인테리어는 한옥의 대청마루를 모티브로 전체적으로 한옥 내부 느낌이 나도록 조성했다. 연합뉴스

남과 북이 25일 판문점에서 합동 리허설을 마치면서 남북 정상회담 준비는 사실상 끝났다. 이제 북한 비핵화를 위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의 27일 담판만 남았다.

특히 남북 정상회담은 5월 말 또는 6월 초에 있을 것으로 보이는 북미 정상회담의 길잡이가 되는 만큼 이번 남북 정상회담 이후 진행될 한미 간 협의와 공조가 한반도 운명을 결정짓는 또 다른 변수가 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와 관련, 남북 정상회담 직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는 물론 다음 달 중순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기로 했다고 청와대가 25일 밝혔다.

문 대통령은 27일 확대회담'단독 정상회담'만찬으로 이어지는 남북 정상회담 일정을 숨 가쁘게 소화하면서 김 위원장과 비핵화를 위한 담판을 벌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 19일 청와대에서 열린 언론사 사장단과의 오찬간담회에서 "(남'북'미가) 비핵화의 개념에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북한은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가 김정은 위원장의 입에서 나오도록 회담 전략 구상을 마쳤을 것으로 보인다. 김준형 한동대 교수는 "남북 정상회담은 북미 정상회담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확고한 의견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북한의 비핵화 의지는 한반도 평화체제에 중요한 부분이기에 남한 주도의 비핵화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 비핵화 로드맵과 방안에 대해 한미 간 공조를 확인하고 점검하는 시도에 들어간다.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북미 정상회담까지 성공해야 북한 비핵화 방안과 로드맵의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담 결과를 트럼프 대통령과 공유하고, 이를 토대로 한반도 비핵화 로드맵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종전 선언에 대한 협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24일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 24일(현지시간) 오후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만나 남북 정상회담과 내달 열릴 한미 정상회담 개최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이정철 숭실대 교수는 "문 대통령이 비핵화, 평화협력, 남북관계 고도화 등 3가지 틀을 갖고 김정은 위원장을 잘 설득해 북미 회담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이번 정상회담에서의) 1차적 전략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