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이후 국가 재건과 새마을사업 등 조국 근대 산업화 과정의 핵심시설이었던 쌍용양회 문경공장이 건립 61년 만인 지난달 30일 문을 닫았다.
1960~80년대 국내 시멘트의 절반 이상을 공급해왔으나 2000년대 이후 수요 감소에 따른 만성 적자가 지속되면서 조업 중단을 결정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새마을사업과 건물'도로에 쓰일 시멘트를 1천℃ 이상 고온으로 뜨겁게 쏟아내던 시설도 이젠 가동을 멈추게 됐다.
문경공장 직원 51명은 쌍용양회의 동해공장이나 영월공장으로 떠나게 된다.
1957년 유엔의 한국재건단 자금으로 대한양회로 지어졌다가 쌍용양회로 주인이 바뀐 쌍용양회 문경공장은 20만2천여㎡ 부지에 시멘트 제조시설 4기 등 5만여㎡ 규모 건축물이 있다. 한때 공장 직원들만 해도 500여 명에 협력업체까지 합하면 1천여 명의 종업원이 근무하던 시절도 있었다. 1969년 공장 부근에 있던 문경신기초등학교 학생 수가 1천800명을 넘었으나 지금은 겨우 70여 명에 불과하다.
주민들에 따르면 호황을 누리던 당시에는 "시멘트 한 차를 싣기 위해 공장 밖에서 트럭들이 며칠씩 줄을 서 있기도 했었다"고 회고했다. 당시 생산한 제비표 시멘트는 중장년층에게 추억의 브랜드로 기억되고 있다.
한때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실렸고 수학여행 등 견학 버스도 줄지어 섰을 만큼 조국 근대화의 산업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경상북도와 문경시가 산업유산으로 보존을 검토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한 제도적 뒷받침이 없고 무엇보다 지자체 예산만으로는 500억원에 이르는 공장 부지 매입이 힘든 상태다.
쌍용양회 관계자는 "공장 시설을 철거하거나 부지를 매각할 계획은 현재로서는 없다. 지자체나 정부가 산업유산 보존을 위해 사들이겠다고 하면 검토를 하겠다"고 밝혔다.
경북도와 문경시는 문경 쌍용양회 공장을 정부 차원에서 사들여 보존하고 개발하는 방안을 중앙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