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세계문화엑스포가 평양에서 열리기를 기대합니다."
남북 화해 분위기 속에서 경주세계문화엑스포(이하 경주엑스포)의 평양 개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정부가 국제행사 국비 지원 일몰제 규정을 완화, 경주엑스포 국비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 열려 평양 개최에 힘이 실리고 있다.
경상북도는 그동안 북한의 경주엑스포 참여를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다. 지난 1998년 경주엑스포에서 고구려벽화를 전시하는 등 북한관을 운영했다. 2000년 행사 때는 '달매와 범달이' '자매들' 등 북한영화를 상영했으며 북한 김용순 비서 일행이 행사를 참관해 눈길을 끌었다.
경북도는 2015년 '실크로드 경주 2015' 행사에 북한 공연단 초청을 추진하기도 했다. 당시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인 이희호 여사를 만나 북한 공연단을 초청하는 방안을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 바 있다. 경북도는 실크로드 경주 행사에 이어 '실크로드 문화 대축전' 남북 공동개최도 추진했었다. 경주와 개성을 순회하는 행사로 발전시키고 남북 공동으로 한민족 역사문화 대축전으로 육성한다는 것이었다.
이와 함께 경주엑스포는 최대 국비 지원 횟수인 7회를 다 채워 다음 행사부터는 국비 지원을 받지 못할 처지였는데 일몰제 완화로 경북도와 경주시는 한시름을 놓게 됐다.
경북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최근 '국제행사의 유치'개최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발령했다. 매년 열리는 국제행사는 7회, 2년 주기 행사는 4회, 그 밖의 행사는 3회까지 국비를 지원하고 나서 일몰제를 적용하되 평가를 통과하면 각각 7회, 4회, 3회씩 연장해주기로 했다. 특히 국제행사 지원 사업 예산이 국가균형발전특별법으로 편성되는 지역특별회계이면 일몰제 적용 대상에서 아예 제외했다. 지특 대상 사업인 경주엑스포가 여기 해당돼 앞으로 지속해서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기존에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의 무분별한 국제행사 개최를 막기 위해 국비가 10억원 이상 들어가는 행사는 국비 지원 가능 횟수를 7회로 제한해 왔다.
1998년 제1회 행사로 경주에서 시작된 경주엑스포는 2006년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2013년 터키 이스탄불, 지난해 베트남 호찌민에 이르기까지 20년간 모두 아홉 차례 국내외에서 개최됐다. 2003년 제3회 행사부터 국비를 지원받아 지난해 제9회 행사를 마지막으로 국비 지원 일몰제 대상이 됐다. 이를 두고 경북도 안팎에서는 일몰제가 국제행사의 성과와 기여도를 반영하지 않고 일괄 적용돼 애초 취지와 달리 오랜 기간 명성을 쌓은 경주엑스포의 지속 개최에 걸림돌이 된다는 목소리도 나왔었다. 지난해 경주엑스포 사업비 100억원 중 국비가 28억원이었다.
경북도 관계자는 "지자체 교류에 대한 정부의 방침이 서게 되면 통일부와 협의해 경주엑스포 평양 개최의 구제적 실현방안을 논의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