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北 국채보상운동 사료 발굴사업 재추진

남북 교류협력 사업 기지개…황해도에 공동조사센터 건립 운동 범위 북한으로 넓혀

4'27 남북 정상회담과 판문점 선언을 계기로 모처럼 남북에 순풍이 불면서 대구시가 그간 추진했던 남북교류협력사업도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다.

대구시가 지난 2016년부터 추진하다 남북 관계가 갑자기 경색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중지됐던 북한지역 국채보상운동 사료 발굴사업을 재추진하기로 한 것. 시는 국채보상운동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을 위해 2016년 1월부터 북한지역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국채보상운동 관련 사료 발굴을 위해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나랏빚 1천300만원을 갚기 위해 빈부귀천, 남녀노소, 도시농촌, 종교'사상을 뛰어넘어 대구에서 시작해 전 국민의 25% 이상이 참여한 경제주권 회복운동이다. 전국적으로 확산된 만큼 북한지역에서도 일어났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안중근 의사가 서북지역 국채보상운동 지부장을 맡는 등 북한에서도 상당한 자료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북한지역의 관련 사료 발굴 및 조사 사업을 남북한 공동으로 추진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했다.

대구시는 우선 북한지역에서 국채보상운동이 가장 활발하게 전개된 것으로 알려진 황해도 지역에 '국채보상운동 남북공동조사센터'(가칭)를 설립한다는 구체적 청사진도 마련했다. 이 센터에 '아카이브'(기록보관소)를 만든 뒤 지난해 11월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국채보상운동의 범위를 북한으로 넓혀 재신청한다는 것이 시의 복안이다.

아울러 민간차원의 남북교류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그동안 교류 전례가 있는 지역 문학'미술계 등 문화 분야의 남북 민간교류를 활성화한 뒤 이를 지방정부 간 교류협력사업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재원은 시가 민선 6기 들어 조성한 남북교류협력기금으로 충당하면 된다. 지난해까지 50억7천만원의 남북교류협력기금을 모았다"며 "조만간 통일부를 찾아 국채보상운동 남북한 공동조사는 물론 남북의 활발한 민간교류 및 지방정부 간 교류에 대해 협의할 방침"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