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북미정상회담, '싱가포르' 개최 유력…G7 이전 '6월초' 가능성

트럼프와 김정은. 매일신문DB
트럼프와 김정은. 매일신문DB

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판문점이 아닌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또 시기는 6월 중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다음 달 8일부터 이틀간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이전에 열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북미정상회담 소속에 정통한 복수의 외교소식통은 6일 연합뉴스에 "한미 정상회담 일정(22일)을 감안할 때 회담 시기가 6월로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며 "장소의 경우 당초 유력하게 거론됐던 판문점에서 열릴 가능성은 작아졌다"고 말했다.

전체적으로 5월 중·하순으로 예상되던 회담 일정이 늦춰지고,판문점 개최가 유력시됐던 장소도 다시 중립지대 성격의 제3국으로 재조정되는 분위기로 정리된다.

키를 쥐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에 이어 5일 북미정상회담 개최 장소와 날짜가 정해졌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으나 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통상 정상회담 일정과 장소는 양국이 '합의 하에' 동시 발표하는 것이 관례라는점에서 발표 시기와 형식을 막판 조율 중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특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경우 신변안전과 경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장소와 일정 발표에 매우 민감할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최대 관심사는 역시 회담 장소다.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일(비핵화 협상)이 잘 풀리면 제3국이 아닌 판문점에서 북미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이 엄청난 기념행사가 될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판문점이 유력 후보지로 급부상했으나,내부 논의과정에서 제3국으로 회귀했다는 게 외교소식통들의 분석이다.

특히 미국이 처음부터 선호했던 싱가포르 개최가 유력하게 점쳐진다.판문점보다는 상징성이 떨어지지만,중립적 협상무대로서의 이점이 있고 신변안전과 경호,미디어 접근성 측면에서 유리한 곳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관심을 보였던 판문점이 막판 낙점될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된 것은 아니다.그러나 백악관 내부 기류로 볼 때 가능성이 작아졌다는 게 외교소식통들의 설명이다.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을 비롯한 참모진의 반대가 컸다는 후문도 들린다.

외교가에서는 판문점이 그 자체로 상징성이 크기는 하지만 이미 지난달 말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곳이어서 신선도가 높지 못한 점을 미국 측이 감안하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또 분단의 상징적 무대라는 점에서 '비핵화 담판'보다는 한반도 평화와 관련한 중요 합의를 도출해내야 하는 정치적 부담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거론된다.미국 입장에서 볼 때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에 가는 것 자체가 북미간 합의의 '9부 능선'을 넘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고,이는 협상전략상 마이너스 요인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한국의 중재역할에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될 수 있는 점도 미국으로서는 신경 쓰이는 대목이다.

다만 극적 효과 연출에 관심이 큰 트럼프 대통령의 '변덕'이 여전히 장소 선정의 변수로 남아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상회담의 시기는 다음 달 8∼9일 캐나다 퀘벡주에서 개최되는 G7 정상회의 일정이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다.일단 남북정상회담 이후의 외교적 흐름으로 볼 때 가급적 이른 시일에 북미정상회담을 열고 그 결과에 대해 G7으로부터 지지를 얻는 모양새가 바람직하는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은 지난 4일 G7를 주최하는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전화통화를 한 자리에서 "G7이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지지의 뜻을 모아준다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전략 차원에서 의도적으로 '속도'를 늦출 가능성이있고,이 경우 G7이 끝난 이후인 6월 셋째 주에 정상회담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트럼프 대통령의 일정 자체가 워낙 빡빡한 탓에 G7 이전에 일정을 내기가 쉽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