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축구대표팀이 1954년 스위스 월드컵 이후 2014년 브라질 대회까지 9차례 월드컵 본선에서 치른 경기는 모두 31경기(5승 9무 17패). 본선 31경기에서 터트린 득점수도 31골로 경기 수와 같다. 1경기당 평균 1골씩 넣은 셈이다. 그렇다면 한국 대표팀이 월드컵 본선에 터트린 첫 골과 최다 골, 최단 시간 골 등의 주인공은 누굴까. 대한축구협회가 정리한 월드컵 본선 득점 관련 이모저모를 살펴본다.
◆첫 골은 박창선, 박지성은 세 대회 연속골
1986년 멕시코 월드컵 첫 경기 아르헨티나전에서 박창선이 중거리 슛으로 사상 첫 골을 터뜨린 이래 월드컵에서 골 맛을 본 한국 선수는 모두 22명. 이 가운데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선수는 안정환과 박지성으로 3골씩이다.
특히 박지성은 2002, 2006, 2010년 월드컵에서 잇따라 한 골씩 터트렸다. 세 대회 연속 득점은 아시아에서 박지성이 유일하다. 최연소 득점 기록도 21세 4개월의 박지성(2002년 포르투갈전)이 갖고 있고, 최고령 득점 선수는 2002년 폴란드전 당시 33세 11개월이었던 황선홍이다.
◆ 연속골은 유상철이 유일
월드컵 본선에서 두 경기 연속으로 골을 터뜨린 선수는 유상철(현 전남 드래곤즈 감독)이 유일하다. 유상철은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마지막 경기 벨기에전 득점에 이어 2002년 월드컵 폴란드와의 첫 경기에서도 골을 성공시켰다. 그러나 한 대회에서 두 경기 연속골을 기록하거나 한 경기에서 두 골 이상을 넣은 한국 선수는 아직 없다. 한국의 한 경기 최다 득점도 2골에 그치고 있다.
◆오른발 20골, 왼발 8골, 헤더 3골
역대 통산 31득점 중 오른발로 넣은 골이 20골, 왼발은 8골, 헤더가 3골이다. 득점 위치를 보면 페널티 에어리어 안쪽에서의 득점이 18골, 바깥쪽 득점이 13골로 집계됐다. 골문에서 먼 페널티 에어리어 바깥에서 넣은 골의 비중이 꽤 높다. 강한 상대를 만나다 보니 세밀한 문전 패스에 의한 공격보다는 중거리 슛이나 프리킥 득점을 많이 노렸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로 한국은 프리킥 세트피스로 11골을 기록했다. 그러나 아직 페널티킥 득점은 없다. 2002년 월드컵에서 두 번의 페널티킥 기회가 있었으나 이을용과 안정환이 실축했다.
◆최단 시간은 이정수, 가장 늦은 골은 안정환의 골든골
통산 31골 중 전반 득점은 6골에 불과하고, 후반 이후가 25골로 훨씬 많다. 가장 이른 시간 득점은 2010년 남아공 대회 그리스전에서 전반 7분만에 이정수가 기성용의 프리킥을 받아 만든 골이다.
반면 가장 늦은 시간 득점은 2002년 안정환이 이탈리아를 맞아 연장 후반 12분에 성공시킨 '역사적인 골든골'이다. 90분 경기 중에서 가장 늦은 골은 2002 월드컵 터키와의 3/4위전에서 후반 추가시간 3분에 송종국이 넣은 골이다. 그러나 종료 직전 골의 임팩트는 1994년 미국 월드컵 스페인전에서 후반 44분 55초에 터진 서정원의 동점골이 더 강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