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혜영의 근대문학을 읽다] 대구발 파리행 기차 여행은 가능할까

세계일주 여행 직전의 나혜석 부부
세계일주 여행 직전의 나혜석 부부

1927년 6월 19일 나혜석은 남편과 함께 부산역을 출발하여, 한 달 뒤인 7월 19일 최종 목적지 파리에 도착한다. 대륙을 횡단하는 기차 여행이었다. 부산에서 기차를 타고 경성, 중국 안동현, 봉천, 장춘, 하얼빈, 만저우리로 가서 거기서 다시 시베리아 횡단열차로 갈아타고, 모스크바, 바르샤바, 베를린을 거쳐 파리에 도착하는 일정이다. 중간에 열차에서 내려 친지를 만나기 위해 며칠씩 쉰 시간을 빼더라도, 그럭저럭 파리 도착까지 20여 일이 걸린 셈이다. 나혜석은 여행에서 돌아온 지 5년 후 이 여행 기록을 '구미여행기'(1933)라는 제목으로 발표한다.

'구미여행기'에서 나혜석은 달리는 기차에서 바라본 바깥 풍경, 혹은 환승하면서 잠시 둘러본 도시 풍경을 스케치하듯 묘사하고 있다. 지역에 따라 다른 역무원 복장, 나무, 건축물과 같은 사소한 풍경 묘사를 읽어가다가 보면 글로벌한 시대의 움직임이 전해져 온다. 팽배하는 일본 제국의 힘, 혁명의 여파에서 아직 채 벗어나지 못한 러시아, 쇠락해가는 중국, 그리고 아시아로 파고들어오는 서구 제국 등 당시 제국주의의 세계사적 움직임이 사소한 풍경 속에서 서로 맞물려 돌아가고 있다. 여기서 다시 나혜석의 일정을 따라가 보자.

조선 분위기와 별반 다르지 않은 안동현, 봉천을 지나면 러시아 건축물과 러시아인들이 빈번하게 보이는 장춘에 도착한다. 다시 장춘을 지나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도시, 하얼빈에 이르면 세계 각국에서 모여든 다양한 직종의 인종이 거리를 채우고 있다. 러시아인과 조선인이 공동경영하는 극장에서는 영국 영화와 인도 연극이 공연되고 있으며, 금색 십자가를 높이 세운 서양식 납골당과 중국식 극락사가 도시 한쪽, 서로 마주 보며 위치해 있다. 이처럼 동서양 문화가 뒤섞인 국제도시 하얼빈을 지나 흰 작약이 흐드러지게 핀 길을 달려 국경 만저우리에 도착하면 거기서부터 러시아 땅이 시작된다. 자작나무 삼림이 이어지는 시베리아를 횡단하여 모스크바에 이르고, 다시 유럽으로 가는 것이다.

조선과 중국, 러시아, 유럽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던 100년 전, 그 시절 조선인들은 어쩌면 지금 이상으로 글로벌한 감각을 지녔던 것이 아닐까. 프랑스 파리로 가는 데 20여 일이 걸리던 때였지만 그 시절 사람들이 러시아나 유럽에 대해 지닌 심리적 거리감은 지금보다 훨씬 가까웠음에 틀림없다. 남북, 북미 정상회담을 거치면서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대구에서 파리행 기차표를 끊어서 유럽으로 갈 날이 올 것이다. 하얼빈에 내려 안중근 의사를 추모한 후, 오로라를 보며 시베리아를 횡단하여 유럽으로 가는 꿈처럼 멋진 시대가 곧 열리지 않을까.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