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편의점 업계가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 증가 등 인구 구조 변화에 힘입어 급성장하고 있다.
27일 한국편의점산업협회의 '편의점산업동향' 보고서를 보면 2011년 국내 편의점업계 매출은 10조1천억원이었으나 5년 뒤인 2016년 배가 넘는 20조3천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매출은 22조2천억대로 추정된다.
점포 수도 2011년 2만1천221개에서 2016년 3만2천611개로 53.7% 늘었다. 올해 3월 기준 전국 편의점 수는 4만192개로 집계됐다.
2011년 2만 개를 넘은 편의점은 3만 개(2016년)가 되기까지 5년이 걸렸지만, 그로부터 불과 2년 만인 올해 4만 개를 돌파하면서 증가 속도가 빨라졌다.
이처럼 편의점이 급성장하는 배경은 편의점 주 고객인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 증가 때문으로 풀이된다.
편의점은 인구 구조 변화뿐 아니라 동네 깊숙한 곳까지 진출하면서 접근성과 편리성 때문에 주요 유통채널로 자리매김했다.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집에서 요리해서 식사하는 이들이 줄고 간편식이나 외식으로 대체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1인 가구가 2045년에는 36%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어 편의점 고객이 더 늘어날 것이다"라고 예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